문재인 대통령은 17일 스페인 일정을 끝으로 6박 8일간의 유럽 3개국 순방을 마무리했다. 청와대는 이번 순방에 대해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확인했고, 글로벌 백신 외교를 펼쳤다”고 했지만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계기 한·일, 한·미·일 정상회담이 무산되는 아쉬움도 남았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를 일본 측의 약속 파기라고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순방 기간 아스트라제네카(AZ)·큐어백 등 코로나19 백신업체 CEO를 만나 국내 생산과 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협조를 부탁했다. 문 대통령은 G7 계기 독일·영국·유럽연합(EU) 정상과의 양자회담에서 개발도상국의 백신 접근권 강화를 논의했고, 한·오스트리아 정상회담 이후 공동기자회견에선 “북한이 동의한다면 북한에 대한 백신 공급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 순방을 계기로 국제사회에 백신 생산 허브로서 한국의 위상을 알리게 됐다. 백신 수급의 다각화도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G7 정상회의 계기 한·일 정상회담은 불발됐다. 한·일 정부는 회담 무산 배경을 두고 공방을 벌이기도 했다. 문 대통령 순방에 동행한 윤건영 의원은 이날 “G7 전체회의 사이 라운지에서 총 6번의 약식회담 기회가 있었는데 스가 요시히데 총리는 첫 번째에만 라운지에 잠깐 나타났고 나머지는 아예 나오지 않았다. 약속 장소에 왜 안 나왔는지 설명하는 게 순리인데 일본은 계속 핑계를 댄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양국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을 들어보면 미팅은 하기로 한 것 같다. 그런데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의도적으로 피한 것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도 “일본이 국내 정치용으로 우리를 이용하고 있다”며 “일본이 계속 엉뚱한 소리를 하고, 폄훼하는 태도를 보여 불쾌하다”고 비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정부는 한·일 관계 개선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열린 자세로 일본 측과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박세환 기자, 바르셀로나=공동취재단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