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대교 액셀 밟으면 살았나”…宋 발언 곳곳서 맹비난

입력 2021-06-17 17:15 수정 2021-06-19 21:12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디어혁신특별위원회 제6차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광주 건물 붕괴 참사의 책임을 버스 운전자에게 전가하는 듯한 발언으로 정치권과 누리꾼들에게 맹비난을 받고 있다.

황보승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17일 논평을 통해 “송 대표가 오늘 광주 붕괴사고 대책 당정협의에서 ‘운전사의 본능적인 감각으로 액셀만 밟았어도 살 수 있었다’는 식의 망언을 내뱉었다”며 “광주 붕괴 참사 피해자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2차 가해나 다름없다”고 맹비난했다.

앞서 송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광주 붕괴사고 대책 당정협의 모두발언에서 “바로 그 버스정류장만 아니었다고 할지라도, 운전사의 본능적인 감각으로 액셀레이터만 밟았어도 (희생자들이) 살 수 있었다”고 말해 논란이 됐다.

황보승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국민일보DB

황보 수석대변인은 “집권여당 대표가 제대로 된 원인진단과 개선책을 내놓기는커녕 황당한 인식을 갖고 있으니 이러한 인재(人災)가 반복되는 것 아니냐”며 “가슴 아픈 참사의 책임을 애꿎은 피해자에게 전가하지 마라”고 촉구했다.

이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는 “대포로 폭파 안 한 게 어디냐”라 하고, 뉴질랜드 외교관 성추행 사건에는 ‘문화적 차이’를 운운했으며, 기러기 가족을 비하하는 등, 셀 수도 없을 만큼 숱한 구설로 국민들 가슴에 못을 박았던 송 대표”라며 “오늘 발언 역시 왜곡되고 가벼운 집권여당 대표의 인식이 드러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송 대표는 야당에 대승적 협력을 호소할 것이 아니라 자기성찰부터 제대로 하고 민심을 돌보기 바란다”며 “즉시 피해자들과 국민 앞에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9일 오후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구역에서 철거 중이던 5층 건물이 붕괴돼 지나가던 버스를 덮쳤다. 119 소방대원들이 무너진 건축물에 매몰된 버스에서 승객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뉴시스

허은아 의원 역시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에는 망언 총량의 법칙이 있냐”며 “버스 운전자의 본능적 감각을 찾기 전에 정치인으로서의 본질적 공감 능력 먼저 생각하시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도 “(송 대표의 발언은) 기가 막힐 노릇. 이것이 중대재해 사고를 바라보는 더불어민주당의 인식이라는 말이냐”라며 “경우도 없고 염치도 없는 발언”이라며 유가족과 국민에 사과를 촉구했다.

9일 오후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구역에서 철거 중이던 5층 건물이 붕괴돼 지나가던 버스를 덮쳤다. 119 소방대원들이 무너진 건축물에 매몰된 버스에서 사망자를 옮기고 있다. 뉴시스

온라인상에서도 송 대표의 발언에 대해 “버스기사도 피해자”라며 비판이 쏟아졌다.

한 누리꾼은 “그 논리면 세상에 죽을 사람 하나 없다”며 “성수대교도, 삼풍백화점도, 대구 지하철도, 세월호도 본능적으로 조금만 조심했으면 다 살았을 수 있냐”고 되물었다.

다른 누리꾼도 “세월호 출발지가 인천항”이라며 “당시 인천시장인 송영길 시장이 본능적으로 출항만 막았으면 아이들 살릴 수 있었다”고 비꼬았다.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광주 학동 건축물 붕괴사고 대책 당정협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논란이 커지자 송 대표는 버스기사 탓을 한 것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송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버스정류장 앞에 건물 해체 작업을 방치한 동구청장을 질책한 것이었다”며 “버스 기사를 비난한 것이 아니다. 오해가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류장을 10∼20m 공사 현장에서 옮겨놨다면, 버스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건물이 붕괴됐다면 그 순간 인간의 본능으로 버스기사가 액셀을 밟았다면, 그걸 피해서 피해를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것”이라 부연했다.

그는 “버스기사를 비난하는 게 아니라 이런 위험한 건물을 일반대로 상에 방치하면 안 되는데 버스정류장 바로 앞에 방치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임을 지적한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