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국 역사 왜곡에 팔 걷어붙인 문화재청…반크와 손잡는다

입력 2021-06-17 14:04
정세균 전 총리(왼쪽 세번째)가 31일 오후 서울 성북구 반크 사무실을 찾아 박기태 단장(맨왼쪽), 반크 연구원들과 함께 독도, 울릉도 등 해양 영토의 중요성을 강조한 포스터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1.5.31 연합뉴스

문화재청과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가 인접국의 역사 왜곡에 공동으로 대응한다.

문화재청은 17일 덕수궁 석조전에서 반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인접국의 역사·문화재 왜곡에 공동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근 주변국들이 김치공정, 한복공정, 독도왜곡 등으로 우리 문화유산과 역사를 왜곡하거나 부정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양 기관은 이번 협약으로 ▲디지털 문화유산 홍보대사 양성사업 ▲청년 유네스코 지킴이 등 문화재 지킴이 단체와의 역사왜곡 공동대응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협업 ▲전 세계를 대상으로 올바른 역사문화 의식 확산을 위한 문화유산교육 운영 ▲문화유산교육 콘텐츠 보급 등에 중점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문화재청은 반크가 역사왜곡 대응 경험과 비결을 갖췄다며 반크와의 공동 대응이 국내외 역사 인식을 바로 잡는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는 1999년 만들어졌으며 한국 청소년, 청년과 해외 동포를 사이버 외교관이자 한국홍보대사로 양성해 세계에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바로 알리는 활동을 해왔다.

특히 반크는 외국 교과서, 백과사전, 박물관, 인터넷에 왜곡된 한국역사를 바로잡으며 한국 역사와 문화유산을 꾸준히 홍보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반크와의 협약 이외에도 ‘문화재지킴이’ 단체들과도 연대·협력할 방침이다. 또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 운영도 지원해 청년·시민사회와의 협력방식으로 자발적이고 체계적인 홍보 확산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도 문화재청 소속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협력 프로그램으로 ‘역사왜곡 시정 교육과정’과 ‘우리 문화재 바로 알리기’를 개설·운영해 문화유산 교육 활성화에도 노력하기로 했다.

노유림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