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6일 북한 에너지 공급의 방안으로 소형 모듈 원자로(SMR)를 제시했다.
송 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북핵 문제 해결을 전제로, SMR이 산악지대가 많고 송배전망이 부족한 북한에 에너지를 공급할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SMR이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도 강조했다. 송 대표는 “문재인정부는 지난해 12월 제9차 원자력진흥위원회에서 SMR 개발 계획을 확정했다”며 “SMR이 중동국가나 지형적 한계가 큰 국가들에 효과적인 에너지 수단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재생에너지의 보완재로서 SMR의 장점을 부각했다. 송 대표는 “재생에너지만으로는 완전한 탄소중립을 이루는 데 한계가 있다”며 “상당 기간 수소·원자력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에너지 믹스가 불가피해서 저는 대통령과의 첫 회동에서 SMR 등의 분야에서 한미 원자력 산업의 전략적 협력 필요성을 건의했고,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해외 원전시장 공동 참여 원칙에 합의했다”고 했다.
한편 송 대표는 “한국형 인공태양 상용화를 뒷받침하겠다”며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발전의 상용화 목표를 2050년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