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교육지방정부협의회, 지방정부 교육주체 참여해야

입력 2021-06-15 16:12

혁신교육지방정부협의회는 15일 “학습결손 및 기초학습미달 사항은 학교와 학생 개별 문제로 해결될 사항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지원과 함께 정서·사회성 회복을 위한 전문적 지원 및 활동 등의 종합적인 대안이 필요한 사항”이라며 교육부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중심의 교육회복 종합 대안 마련에 지방정부도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지난 2일 교육부는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학습지원 강화를 위한 대응전략’을 발표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적인 학교생활의 어려움으로 학업성취 수준과 학교생활 행복도가 전년대비 낮아지고, 학습결손도 심각한 상황”이라면서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와 교육회복 종합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혁신교육지방정부협의회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가정의 교육적 역할과 지역사회 교육안전망의 중요성이 그 어느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며 “이러한 시기에 학교과 마을이 공동체로 하나가 되어야만 기초학력을 비롯한 학습결손 문제에 대해 종합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혁신교육지방정부협의회는 “보다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교현장뿐만 아니라 지역의 교육주체인 지방정부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야 한다”면서 교육부가 6월 말에 내놓기로 한 학습결손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지방정부도 함께 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곽상욱 혁신교육지방정부협의회장(경기도 오산시장)은 “지역교육과 시민성장에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지방정부가 배제된 사항에 대해 유감”이라며 “‘(가칭)교육회복 종합방안(프로젝트)’ 추진 및 ‘(가칭)교육회복 추진 위원회’에 혁신교육지방정부협의회가 함께 참여하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혁신교육지방정부협의회는 혁신교육으로 지역과 사람이 함께 성장하고자 2018년 구성된 지방자치단체협의체다. 현재 63개 도시가 참여하고 있다.

오산=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