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세 미만 장병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과정에서 군 병원이 실수로 일부 장병에게 식염수만 들어 있는 주사를 놨던 것으로 파악됐다.
14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국군대구병원은 지난 10일 진행된 30세 미만 장병에 대한 화이자 백신 단체 접종 과정에서 접종자 수와 백신 수를 확인하던 중 사용되지 않은 백신 1바이알(병)을 뒤늦게 발견했다. 화이자 백신은 원액이 담긴 병에 식염수를 주사기로 주입해 희석한 뒤 투약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통상 1바이알 당 6~7명에게 투약할 수 있다.
자체 조사 결과 담당자가 이미 용법대로 사용을 마쳐 원액 잔량만 남은 백신 병을 치우지 않고 새 병으로 착각해 식염수를 채워 넣은 사실이 드러났다. 이를 접종받은 장병 6명은 사실상 백신 원액이 거의 섞이지 않은 ‘식염수 주사’를 맞은 셈이다.
병원 측은 당일 투약 실수를 인지하고도 재접종이 필요한 장병 6명이 누구인지 특정하지 못했다. 이에 보건 당국 지침에 따라 동시간대에 접종한 장병 21명을 재접종이 필요한 인원으로 분류했고, 이 가운데 재접종을 희망한 10명만 다시 백신을 맞도록 했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국군의무사령부 측은 “재접종자들에게 일일 3회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특이 증상을 보이는 인원은 없다”며 “동일 사례의 재발방지를 위해 군 접종기관 및 의료진을 대상으로 백신 조제 절차에 대한 재교육과 절차 준수를 강조하고 확인했다”고 해명했다.
이날 페이스북 커뮤니티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에는 폭로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자신을 201신속대응여단에서 복무하고 있는 군인이라고 밝힌 제보자는 “누가 맞았는지 안 맞았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사태 책임이 있는 병원 측은 일언반구 사과도 없이 너무 많은 인원을 접종하다 보니 이런 일이 일어났다는 말과 2번 맞아도 전혀 문제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병원 측의 논리가 과연 민간인을 상대하는 곳이었어도 통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