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경제단체,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중소기업에 충격”

입력 2021-06-14 16:18
왼쪽부터 반원익 중견련 상근부회장,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 서승원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 이관섭 무협 상근부회장이 14일 서울 영등포구 중기중앙회에서 ‘주52시간제 대책 촉구 관련 경제단체 공동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중기중앙회 제공

경제단체들이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 주 52시간 근무제를 적용하기에 앞서 준비 기간 추가 부여 등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주 52시간 근무제는 다음 달부터 중소기업에도 도입된다.

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5개 경제단체는 14일 서울 영등포구 중기중앙회에서 “인력난에 시달리는 영세업체를 중심으로 계도 기간을 추가로 주고, 특별연장근로 인가제 기간을 늘리는 등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공동입장을 발표했다.

공동입장문에서는 한국은행 조사 결과를 인용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3분기까지 기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6% 감소하고 대출은 15.5% 증가했다고 밝혔다.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자금 여력이 낮아져 중소기업 절반가량(52.8%)이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고용 충격이 중소기업에 집중돼 지난해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29만7000명 줄었다. 2009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가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보완책 없이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 현장에서 큰 충격이 예상된다는 게 경제단체 주장이다. 중기중앙회가 지난 10~11일 뿌리산업·조선업종 207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인 미만 기업의 44%가 주 52시간제 도입 준비가 안 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단체들은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하게 겪고 있는 어려움도 감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조, 금형, 용접 등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은 코로나19 탓에 인력난이 심화됐다. 기피업종이다 보니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높았는데, 추가 입국이 중단되면서 근로자를 구하는 게 더 어려워진 것이다.

경제단체들은 50인 미만 기업에 1년 이상의 준비 기간을 마련해줄 것, 특별연장근로 인가제 기간을 확대해 줄 것, 월·연 단위 추가연장근로 시간을 늘려줄 것 등을 요구했다. 특별연장근로제 인가 기간은 현행 90일에서 180일로, 8시간 추가연장근로제도를 현행 30인 미만 사업장 대상에서 50인 미만으로, 현행 주당 12시간 연장근로 허용을 노사 합의로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