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유명 관광출판사에서 발행한 중국 소개 영어 관광가이드북에 고구려성이 중국성으로 둔갑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13일 영국의 유명 관광출판사 돌링 킨더슬리가 최근 발행한 중국 소개 영어 관광가이드북(DK Eyewitness Travel China 7th edition)에서 한국 역사 속 고구려성이 ‘만리장성에 포함된다’고 잘못 적힌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가이드북 447쪽에 적힌 내용을 보면 ‘후산산청(虎山山城·호산산성)은 만리장성의 복원된 지역으로 많은 사람이 방문하지 않지만, 단둥(丹東)에서 북동쪽 20㎞ 떨어진 곳에 있다. 이곳은 명나라 만력제 시기에 만들어진 만리장성에 포함되며 동쪽 끝 지점이다. 만리장성 박물관에는 방어벽과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돼 있다’고 잘못 기술됐다.
후산산청은 압록강 인근의 고구려성 ‘박작성(泊灼城)’을 말한다. 반크는 박작성이 명나라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서술된 내용에 대해 ‘현재 국경을 기준으로 자국 영토 안에 있는 성을 모두 만리장성에 포함하려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앞서 중국 정부는 2002~2007년 고구려 역사를 중국 역사의 일부로 편입하는 동북공정을 펼쳤다. 중국 정부는 6300㎞ 정도인 만리장성 길이를 2만1196.18㎞로 늘였다.
고구려와 발해가 쌓은 성까지 만리장성 일부로 포함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압록강 인근의 고구려성인 ‘박작성’ 흔적을 없애고, 그곳에 후산산청을 쌓고 만리장성이라고 억지 주장하고 있다.
반크는 “세계에서 중국의 역사와 문화, 관광에 관심 있는 외국인이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를 방치하면 한국의 고구려 역사가 중국의 역사로 왜곡되는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며 “반드시 막아야만 한다”고 말했다.
반크는 중국의 막무가내식 만리장성 확장을 세계에 알리고 고발하는 패러디 포스터와 국제 청원(maywespeak.com/greatwall)을 전개하고 있다.
김남명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