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앞둔 中 “인도태평양 강력반대…한국도 중국 배려하라” 압박

입력 2021-06-10 17:13

문재인 대통령의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중국이 미국 편에 서지 말 것을 종용하며 우리 정부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처음으로 양안(兩岸·중국과 대만)이 거론된 데 이어 G7 정상회의에서 논의될 중국 문제에도 우리 정부가 참여하는 것을 놓고 사전 정지작업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전날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미국이 추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은 냉전적 사고로 가득 차 집단 대결을 부추기고 지역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아 중국은 강력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한(한·중)은 우호적인 이웃이자 전략적 파트너로서 올바른 입장을 견지하며 정치적 공감대를 지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는 정 장관이 우리 정부가 한·중 전략적동반자 관계를 매우 중시하며 ‘하나의 중국’ 원칙을 견지한다고 했고, 양안 관계의 민감성도 충분히 인식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우리 외교부는 전날 낸 한·중 외교장관 통화 결과에서 “정 장관은 글로벌 도전과제 대응에 있어 미·중 간 협력이 국제사회의 이익에 부합하는바, 미·중 관계가 안정적으로 발전해 나가길 희망했다”고만 설명했다.


이날 통화는 우리 측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4월 3일 한·중 외교장관회담 후속조치와 관련한 의견 교환이 있었다. G7(정상회의)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고 말했다. 양측이 좋은 분위기에서 솔직한 얘기를 나눴다고도 했다. 그러나 통화 시점과 내용 등을 봤을 때 중국이 G7 정상회의에 대한 불편한 심경을 거리낌 없이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도 10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한·중 관계가 미·중 갈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좋게 가길 바란다며 “한국도 그런 면에서 대만 문제, 남중국해 문제 이런 것은 중국의 입장을 좀 고려해서 배려해줬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우리 외교부의 통화 결과와 달리 중국 외교부 입장문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이 언급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선 “중국은 방역이 까다롭다. 그래서 중국에는 코로나19가 거의 없다”며 “코로나19 때문에 지금 (방한) 추진은 좀 그렇다”고 부정적 견해를 내비쳤다.

우리 정부는 초청국이기 때문에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는 이름을 올리지 않지만 ‘열린사회’와 관련한 발표문에는 직접 참여해 문안 협의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주의 가치에 대한 논의가 주된 쟁점으로 사실상 중국을 겨냥하는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 외교소식통은 “의장국인 영국이 G7에 한국 인도 호주가 참여하는 ‘민주주의 10개국(D-10)’ 구상을 내놨고,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이 여기에 호응하는 등 관련국들이 한 데 모이는 게 중국으로선 부담”이라며 “우리를 그 중 ‘약한 고리’로 보고 사전 정지작업을 하는 셈”이라고 진단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