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여성은 주거지, 남성은 유흥번화가…“겁난다”

입력 2021-06-10 13:26 수정 2021-06-10 13:30

부산의 남성은 ‘유흥번화가’를 주민 생활 안전이 가장 위협받는 장소로 평가했지만, 여성은 ‘주거지역’이 더 겁나는 장소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정용환)가 10일 발표한 ‘부산시민 설문조사’ 분석 결과 파악됐다.

이번 설문조사는 부산시와 부산경찰청이 합동으로 자치경찰제 도입에 대한 시민 의견을 듣고, 시민의 요구와 기대에 걸맞은 ‘부산형 자치경찰제’를 구현하기 위해 시행했다. 조사는 지난 3월 22일부터 4월 18일까지 4주간 온라인으로 진행했으며 부산시민 2661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19.1%(매우 잘 안다 4.9%, 잘 안다 14.2%)만이 자치경찰제를 알고 있다고 답하면서 다음 달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가는 자치경찰 제도를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치경찰제가 치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대답도 38.3%(매우 그렇다 6.6%, 그렇다 31.7%)에 그쳤다.

‘효과적인 범죄예방 활동’ 관련 질문에서는 ‘범죄예방 시설 설치’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생활 안전이 가장 위협받는 장소’에 대해 여성 응답자는 주거지역을, 남성 응답자는 유흥번화가를 1순위로 꼽아 여성과 남성이 느끼는 위협 요소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가장 근절이 시급한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에 대한 질문도 남성은 청소년범죄·성범죄·아동학대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고, 여성은 성범죄·아동학대·학교폭력 순으로 응답하면서 성별 간 인식 차이를 드러냈다.

‘사회적 약자 보호에 가장 필요한 경찰 활동’으로는 피해자 보호·지원을 중요하게 꼽았고 가해자 재범 방지가 뒤를 이었다.

‘교통안전 위협 요소’는 대부분 성별·연령대에서 ‘음주운전’을 지목했고, ‘어린이·노인 등 교통약자 보호’를 위해 보호구역 내 단속강화와 시설물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아울러 10명 중 6명(57.5%)이 ‘지역 맞춤형 치안 서비스 제공’을, 10명 중 5명(46.9%)이 ‘맞춤형 치안 시책 개발·시행’을 선택하는 등 지역 실정에 맞는 경찰 활동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