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학동 아파트 재개발지역 철거건물 붕괴사고 현장에서 매몰자를 찾기 위한 밤샘 수색작업이 이어졌으나 추가 매몰자는 나오지 않았다.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10일 오후 사고현장에서 합동 감식을 통해 구체적 사고원인 조사에 나선다.
광주시소방본부는 “붕괴된 건물 내부나 잔해에 매몰된 시내버스 등에서 밤새 추가로 발견된 매몰자나 생존자는 없다”고 밝혔다. 소방당국은 왕복 6차선 도로 위에 널부러진 수십t의 건물잔해를 수거하는 작업을 이날 새벽 마무리했다. 하지만 사고 당시 건물 앞을 지나던 행인 등 만일의 매몰·생존자에 대한 소규모 수색작업은 계속하고 있다.
사고 발생구역 재개발 사업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과 철거업체 측은 붕괴 직전 이상징후에 따라 근로자들이 신속히 몸을 피해 인명피해가 없었다고 밝혔다.
전담수사팀을 꾸린 광주경찰청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사고 이틀째인 이날 오후 1시 구체적 붕괴원인 규명을 위한 합동 현장감식에 나선다. 경찰은 특히 철거공사가 불법 다단계 하도급 구조로 이뤄졌다는 의혹을 철저히 규명할 방침이다.
경찰은 철거공사가 원청→하도급→재하도급으로 이어지는 다단계 방식으로 이뤄졌을 경우 원가절감을 위해 안전시설과 규칙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원청 금액의 절반 수준에 재하도급을 받은 업체가 철거비용을 줄이기 위해 부실한 안전대책에도 공사를 강행하다가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 철거공사에 나선 근로자 다수는 재하도급 업체 소속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학동4구역 재개발 정비사업 조합은 이와관련,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과 3개 철거업체가 하도급 계약을 맺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에 따라 가장 먼저 불법 재하도급 여부를 철저히 가린다는 방침이다. 또 붕괴 직전 인도는 통제했지만, 차량통행이 잦은 차도는 막지 않은 경위도 밝혀내기로 했다. 철거 중 무너진 건물은 바로 앞 정류장에 정차한 시내버스를 순식간에 덮쳤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이날 합동수사팀을 수사본부로 격상해 광주경찰청 수사부장(경무관)이 본부장을 맡도록 했다고 밝혔다. 광주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와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등을 투입해 사고원인을 한 점 의혹이 없도록 철저히 수사한다는 계획이다.
사고 당일 매몰된 시내버스를 중점적으로 진행한 수색작업에서는 고교 2년생 10대 남학생이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돼 현장을 지켜보던 시민들을 안타깝게 했다. 마지막 9번째 희생자로 기록된 이 남학생은 가방과 함께 버스 뒷부분에서 숨졌다.
사망자 9명은 10대 1명, 30대 1명, 40대 1명, 60대 5명, 70대 1명으로 파악됐다. 최연소는 17세, 최고령은 76세이다.
소방당국은 버스에 탑승한 승객을 처음 12명으로 추정했지만, 수색 작업 중 추가 사망자가 이어지면서 사상자가 17명으로 늘었다. 소방당국은 밤늦게 버스 내부 승객을 17명으로 최종 발표하고 버스 수색을 종료했다.
광주 동구청은 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하고 구청 광장에 합동분향소 설치한다. 유족 또는 피해자를 1대 1로 전담하는 공무원을 정해 필요한 지원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은 19일 밤 11시 30분 사고현장을 방문해 소방·경찰관 등에게 끝까지 인명구조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9일 오후 4시 22분쯤 광주 학동 재개발 철거 현장에서 지상 5층, 지하 1층 상가 건물이 통째로 무너지면서 건물 앞 정류장에 정차한 시내버스 1대가 잔해 아래에 깔려 운전기사와 승객 등 17명이 함몰된 버스 안에 갇혀 9명이 숨지고 8명이 중상을 입었다.
사고수습대책본부장을 맡은 임택 광주 동구청장은 10일 오전 10시 이용섭 광주시장과 함께 광주시청에서 향후 사고 수습대책을 설명하는 브리핑을 한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