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도 한걸음부터…대구·경북 통합교통망 구축 나선다

입력 2021-06-09 11:25 수정 2021-06-09 13:45
대구도시철도 3호선 모습. 국민DB

대구시와 경북도가 대구경북행정통합에 앞서 대중교통망을 통합하는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대구경북행정통합을 서두르다가 사업을 중장기 과제로 전환해야 했던 경험이 있는 두 지방자치단체가 시·도민의 생활과 직결된 부분부터 통합해 거부감을 줄여나가는 방식을 택했다는 분석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구와 인근 경북지역을 연계하는 ‘대중교통 광역환승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앞서 대구·경북은 시·도민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분야인 교통 분야를 상생협력 우선과제로 선정했다.

두 지자체는 2023년 말 예정된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에 맞춰 대구와 인근(공동생활권) 경북 8개 지자체(김천, 구미, 영천, 경산, 청도, 고령, 성주, 칠곡) 간 대중교통 광역환승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환승방식(무료환승, 정액환승, 거리비례제 등)과 요금, 정산체계 등 환승시스템 구축을 위한 검토용역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대구시내버스, 대구도시철도와 8개 시·군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최적의 환승시스템 구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용역 비용을 함께 부담하며 용역 기간은 1년 정도로 예상된다.

용역 결과 발표 시기에 맞춰 내년 중에 대구시와 경북도가 협의해 환승제도를 확정할 방침이다. 방침 확정 후 환승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구축해 2023년 말 환승제를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2009년부터 경산시와, 2019년부터 영천시와 대중교통 무료환승제를 시행하고 있다. 하루 8000여명의 시·도민이 무료환승에 따른 교통비 절감혜택을 누리고 있다.

윤정희 대구시 교통국장은 “환승시스템 개발은 대구경북행정통합의 마중물이 될 수 있는 사업이다”며 “경북과 힘을 모아 시도민이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의 대중교통 환승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경북행정통합은 오는 7월 통합광역단체 출범을 목표로 추진됐지만 코로나19 상황 등 악재가 겹치며 중장기 과제로 전환됐다. 본격적으로 재논의가 이뤄지는 시기는 내년 지방선거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