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조 ‘최대 2년 무급휴직’ 수락…찬성 52.1%

입력 2021-06-08 11:31 수정 2021-06-08 13:21
쌍용차 노조 정일권 위원장이 지난달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정부 지원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하기 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업회생절차가 진행 중인 쌍용자동차의 노조가 ‘최대 2년 무급휴직’을 골자로 한 사측의 자구안을 수락했다. 쌍용차는 이 자구안을 토대로 경영 정상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 노조는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된 자구안 찬반 투표에서 찬성률 52.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찬반 투표에는 조합원 3224명 중 1681명이 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쌍용차 노조는 인적 구조조정을 수반하지 않으면서도 회사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가동할 수 있는 최선책이라는 판단에 따라 사측의 이번 자구안을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간 쌍용차 노조는 회사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인적 구조조정은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쌍용차는 2009년 법정관리 당시 정리해고로 노사가 장기간 갈등을 빚은 바 있다.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전경. 쌍용차 제공

이번 자구안에는 기술직 50%와 사무직 30%를 대상으로 1년간 무급휴직하는 방안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회사 사정과 판매 상황 등을 고려해 최대 2년까지 무급휴직을 시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현재 20%씩 깎인 임원 급여는 추가로 20%를 줄여 총 40%를 삭감하는 방안이 담겼고, 직원들의 임금 삭감과 복리후생 중단 기간은 2023년 6월까지 연장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쌍용차는 노조가 수락한 자구안을 조만간 법원에 제출하고 매각 작업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