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학습격차 심화에 대응하고, 지역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온라인 교육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학력격차 문제와 공교육 정상화를 일타 강사 중심의 ‘온라인 강의’ 제공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서울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서울시정 조직개편안’에 따르면 평생교육국 산하에 교육플랫폼추진반을 신설하게 돼 있다. 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최첨단 ICT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교육 에듀테크(edu+tech) 방식을 도입해 공공 차원에서 플랫폼을 구축하고 양질의 교육콘텐츠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공정한 교육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오세훈 시장의 주요 공약 중 하나다.
시는 우선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전 학년은 물론 대안교육기관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도 대상이다. 향후에는 평생교육까지 영역을 확장해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대전환으로 인한 시민 교육 플랫폼과 신산업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직업교육에도 활용될 수 있다.
서울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교육플랫폼추진반 신설에 대해 “조례 개정이 아닌 시행규칙 개정을 통해 평생교육국의 일타강사 강의를 저소득층 학생에게 제공하는 교육사다리 사업을 추진하려는 것”이라며 “온라인 강의 제공으로 학력격차 문제를 해소하고 공교육정상화를 달성할 수 있을지 여부와 사업의 중복성(EBS), 공공성(특정대상 한정), 차별성(사설학원)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 민관 협업 구조인 ‘서울 혁신‧공정 교육 위원회’ 발대식을 갖고 서울시 미래 교육지원정책 수립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교육계, 산업계 등 각 분야의 현장밀착형 전문가 15인과 서울시 간부 2인(당연직) 등 총 17인으로 구성된다.
서울 혁신‧공정 교육 위원회는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공정 교육도시’라는 비전하에 6개월 간 월 1회 이상 전체회의와 분과별 심층논의를 통해 핵심과제를 도출한다. 시는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기 위해 3개 분과로 나누어 운영한다. 혁신교육 분과는 과학 기술과 교육 분야를 융합한 에듀테크 산업분야 발달에 따른 세계적인 ‘교육산업 허브도시’ 조성 방안, 중장기적으로는 캠퍼스 없는 혁신대학 등의 혁신 교육모델 도입도 논의한다. 공정‧다양성 교육 분과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습격차 해소를 위해서도 노력한다. 또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교육이 가능한 대안교육기관 지원 및 증가추세에 있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방안을 논의해 교육지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계획이다.
평생직업교육 분과는 고령화 및 4차 산업혁명 등 사회변화에 따른 대응력을 높이는 평생교육 기반사업을 고민한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AI・로봇의 단순 반복 업무 대체 추세에 따라 직업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첨단산업 인재 양성방안을 주요 의제로 다룰 예정이다. 각 분과에는 서울연구원, 서울평생교육진흥원, 서울산업진흥원 등 서울시 전문연구기관도 참여해 의제 발굴 및 계획수립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올 하반기에 미래교육정책에 대한 다양한 시민 목소리를 듣기 위한 ‘시민포럼’도 개최한다. 이를 토대로 올 연말 중장기 교육지원정책인 ‘(가칭)서울미래교육비전’을 수립할 계획이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