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을 통합해 광역화시키자는 논의가 8년 만에 다시 시작됐다. 두 지자체의 통합 추진 불씨는 이번이 네 번째로 24년 묵은 난제를 풀 수 있을지 주목된다. 또 지방선거를 1년 앞둔 상황에서 시민들이 앞장선 것이어서 출마자들의 입장에 변수가 생길지 관심을 모은다.
전북지역 각계 원로들은 지난 3일 전주의 한 호텔에서 ㈔전주·완주통합추진협의회를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통합 추진에 나서기로 했다.
추진협의회는 “광주와 전남, 부산·울산·경남을 통합하려는 메가시티 시대에서 인구 100만 명의 전북지역 광역시를 만들 대안은 완주·전주 통합뿐이다”며 지역 단체장들과 국회의원·지방의원들의 결단을 촉구했다.
협의회는 김병석 전 전북기능대학장을 임시의장으로 선임하고, 윤석길 유네스코 전북회장 등 17명을 이사로 선출했다. 고문과 자문위원 80명도 추대됐다.
협의회는 앞으로 완주지역에서 군민통합추진협의회를 발족시킨뒤 전북도지사와 전주시장, 완주군수에게 통합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건의문을 보낼 예정이다.
예전 두 지자체의 통합 문제는 준광역시 확보의 필요성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이번엔 전북 메가시티 구축 등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이날 열린 ‘전주·완주 통합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에서 신환철 전 전북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도·농을 아우르는 민간협의회를 구성해 철저한 반성과 공감대를 바탕으로 네 번째 통합을 시도해야 한다”면서 “정치인과 공무원들은 정치적 이익을 버리고 지역공익을 위해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주와 완주의 통합 필요성은 3차례의 통합 과정을 거치면서 충분히 논의됐다”면서 “전북 인구가 180만명이 붕괴된 이 시점에서 완주군과 전주시의 거시적 발전과 전북의 재도약을 위해 통합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한봉수 전북과미래연구소장은 “백제 위덕왕 이후 전주와 완주는 1500년간 하나였지만 1935년 일제가 강제로 분리했다”면서 “이는 천년 역사의 큰 흐름을 차단하려 했던 일제의 농단이었다”고 말했다.
전주시(인구 65만 6900여명)와 완주군(인구 9만 1100여명)의 통합 논의는 이번이 네 번째다. 1997년과 2009년, 2013년에 행정구역 통합을 시도했으나 모두 무산됐다. 2013년엔 송하진 전주시장이 통합이 된다 해도 차기 시장 선거에 나서지 않겠다고 밝히고 적극 추진했으나, 통합 찬반을 묻는 완주 군민투표에서 반대표가 55.4%에 이르러 성사되지 않았다.
두 지역은 원래 한 고장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전주부와 완주군으로 갈라진 이후 1949년 현재의 전주시와 완주군으로 명칭이 바뀐 채 이어지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