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도쿄 올림픽·패럴림픽에서 관객과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원격 구호’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3일(현지시간) 일본이 올림픽 관중이나 자원봉사자 등을 상대로 원격 구호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원격 구호는 의사들이 화상 연결을 통해 구호 센터에 방문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현장의 간호사들에게 지시를 내리는 방식이다.
한 명의 의사가 여러 응급처치 센터를 담당하게 해 의료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목적이다.
당국에 따르면 구호소는 역 인근 도로를 따라 24개 구역에 관중과 자원봉사자들의 열사병 등 사고를 대비해 마련될 예정이다.
도쿄올림픽이 연기되기 전까지는 1000여명의 의사들이 구호소에서 근무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환자 및 방역에 대한 의료 대응 수요가 높아지면서 의료 현장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에 당국은 의사가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화상 통화 기능을 사용해 보호소에 방문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온라인 진료 방식을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의료 진찰과 처치가 필요하다면 현장 의료스탭이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며, 응급처치는 상주 간호사들이 맡을 계획이다.
도쿄올림픽 관계자는 “(원격 구호의 도입으로) 필요한 의사 수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관련 부서들과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당국의 기대와 달리 시민들은 “탁상공론 같은 소리”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누리꾼은 “의사 부담도 줄이고 코로나 위험도 줄이겠다는 꼼수인 것 같은데 너무 불안하다”며 “원격 구호로 처리 속도가 당연히 느려질 거라 전혀 안심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 밖에도 “응급 상황에서 원격으로 정확한 판단을 내릴 자신이 있는 의사가 몇 명이나 되겠냐”, “무리다. 의사도 확보 못한 올림픽인데 이렇게까지 해야 하냐”, “자꾸 부담을 경감한다고 하는데 결국 그 여파는 관객들에게 온다는 소리다”라는 등 올림픽 강행에 대한 시민들의 걱정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2일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을 돕는 자원봉사자 8만명 중 1만명이 자원봉사를 그만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상황이 잇따라 겹치면서 올림픽에 대한 일본 시민의 불안감과 반발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주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