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택배노조가 7일부터 출근과 배송 출발을 2시간 늦추기로 했다. 택배사들이 분류 작업 별도 인력 투입 등 과로사 대책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택배노조는 4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차 사회적 합의를 통해 분류 작업을 비롯한 과로사 방지 조치를 완비하고 시행해야 하지만, 택배사의 몽니로 최종 합의가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7일부터 6500명 전 조합원이 참여하는 ‘9시 출근, 11시 배송 출발’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택배사들은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으면서 과로사 대책 시행의 유예기간을 또다시 1년을 두자는 등 터무니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택배사들이 택배기사 처우 개선을 이유로 요금을 인상했지만, 요금 인상 이득 대부분이 택배사의 이윤으로 남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1차 사회적 합의에 따라 CJ대한통운은 4월 택배 요금을 250원 인상했고, 이로 인해 1∼2월 대비 5월 요금이 150원가량 올랐으나 노동자 수수료는 8원만 증가했다”고 성토했다.
또 노조는 이달 2∼3일 전국 택배노동자 118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4.7%(1005명)가 여전히 분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특히 조사에서 30.2%(304명)는 별도 인력이 투입되지 않아 택배기사가 전적으로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정부와 여당, 택배 노사가 참여한 2차 사회적 합의 기구는 8일 회의를 열고 택배 노동자 과로사 방지 대책이 담긴 2차 합의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