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달아 터진 부실급식 논란에 국방부가 올 하반기부터 장병 1인당 하루 급식단가를 1만원까지 인상하는 방안을 부랴부랴 내놨다. 군 내 조리인력 확충, 민간위탁 시범사업 확대 등 방안도 함께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국방부는 3일 장병 생활여건 개선 전담팀(TF) 출범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들을 담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논의를 통해 장병 1인당 8790원으로 책정됐던 1일 급식단가는 다음 달부터 1만원으로 인상된다. 기존보다 13.8% 인상하는 셈이다. 급식단가 인상에 따라 예산은 약 750억원이 추가 투입된다.
아울러 국방부는 장병들이 선호하는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류와 치킨텐더, 소양념갈비찜 등 가공식품을 증량해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또 배달음식을 연 4회에서 월 2회로, 브런치는 월 1회에서 2회로 확대해 장병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했다. 이는 조리병들에게 최소 일주일에 한 끼 정도 휴식 여건을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마련된 것이다.
문보경 중앙대 식품공학부 교수는 이날 TF회의에서 “기본적인 영양균형이 확보된 가운데, 장병들의 취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장병이 선호하는 메뉴 편성이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급식예산의 대폭적인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급식의 질과 맛을 높이고 조리인력 근무여건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도 언급됐다. 사단급 부대에 영양사를 배치하고 민간조리원을 늘려 인원을 확충하고, 육군의 현재 정원 내 조리부사관과 조리병 편제를 보강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육군 부사관학교 병영식당 1곳에서 진행 중인 민간위탁사업은 전국의 교육훈련기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민한다.
이밖에 식품 오염을 막는 위생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노후한 취사식당의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 등도 추진된다.
육군 제7급양대에서 근무하는 김자연 영양사는 “조리환경 개선이 중요하다. 대용량 오븐 도입 등 취사기구의 현대화가 절실하다”며 “이를 통해 조리 인력의 노동강도를 낮출 수 있고, 자연히 맛에 관심을 둘 수 있어서 장병들의 급식 만족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