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경청하겠다”
‘김부선’으로 불리며 경기도 김포와 인천 검단신도시 등에서 거센 반발을 불러온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D 노선 논란과 관련해 김포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급기야 삭발 투쟁까지 펼쳤다.
급증한 인구에 비해 철도망 등 중앙정부 차원의 교통 인프라 지원이 부족한 문제(국민일보 2021년 5월 10일자 15면 참조)를 호소하기 위해 ‘충격 요법’을 쓴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국토교통부가 D노선을 B노선과 연계해 용산, 여의도로 직통 운행하는 방안 등 절충안을 검토하는 상황에서 강남 직결만 고수하는 건 ‘핌피(PIMFY·수익이 기대되는 개발 사업을 자기 지역에 유치하려는 지역이기주의)’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김포시민사회단체 연석회의와 김포시 지역구 의원인 더불어민주당 김주영·박상혁 의원은 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국토부 앞에서 집회를 열고 ‘GTX-D 노선의 경기도 원안(原案) 적용’과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 연장’을 촉구했다. 두 의원은 집회 도중 공개적으로 삭발식을 했다.
경기도는 앞서 지난해 9월 김포·부천·하남시와 함께 연구용역을 거쳐 인천공항과 김포에서 부천과 서울 남부지역과 강남을 거쳐 하남까지 이어지는 D노선을 국토부에 건의한 바 있다. 그러나 국토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이 지난 4월 발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년) 공청회에서 D노선이 김포에서 부천까지만 연결되자 김포 등에서는 “이게 무슨 광역철도냐”며 거센 반발이 이어졌다. 서울 지하철 5호선 김포 연장 방안이 구축계획에 빠진 것도 반발을 불렀다.
김포와 인천 검단 주민들이 결성한 ‘김포검단교통시민연대’도 4일 청와대 앞에서 공개 삭발식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회의원과 주민들이 직접 삭발까지 하면서 의견을 표명하는 만큼 지역의 의견들을 충분히 경청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국토부 내에서는 이미 교통연이 연구용역 끝에 김포에서 부천까지 연결하는 게 타당하다고 결론지은 상황에서 이달 말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확정·고시에 지역 요구대로 내용을 수정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기류가 강하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