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첫 지구계획 확정 3기 신도시…실수요자에겐 희망 고문?

입력 2021-06-02 17:14

정부가 3기 신도시 중 하나인 인천 계양 신도시의 지구계획을 승인했다. 3기 신도시 중 첫 사례다. 토지보상을 마무리하는 데로 조성공사 등 개발이 차례차례 이뤄질 전망이다.

다음 달 인천 계양을 시작으로 사전청약까지 속속 추진하며 부동산 시장에 공급 신호를 주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실제 입주까지는 수년이 걸리다 보니 당장 실수요자들에게 큰 국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토교통부는 2일 위클리 주택공급 브리핑에서 총 333만㎡에 달하는 인천 계양 신도시의 지구계획을 3일 자로 승인 고시한다고 밝혔다. 지구계획이란 도시 개발에 앞서 대상 구역 내 입체적인 건축물 계획과 평면적인 토지이용계획 등을 모두 담은 종합 개발계획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인천 계양 신도시에는 총 27개 아파트 단지, 1만7289세대가 입주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전체 면적의 27%를 공원과 녹지로 조성하는데 여의도공원 4배 규모다. 도시의 자족 기능을 높이기 위해 판교 테크노밸리의 1.7배 규모의 일자리 공간도 조성된다. 전체 주택의 35%인 6066가구는 공공임대주택으로, 16%인 2815가구는 공공분양으로 공급된다. 공공분양 물량 중 1050가구가 다음 달 사전청약으로 조기 공급된다.

당장 다음 달부터 계양을 포함해 수도권 공공택지로 공급되는 4400가구의 분양 주택에 대해 사전청약이 시작된다. 올해 안에 시행되는 사전청약 물량을 합치면 총 3만200가구다. 남양주 왕숙과 하남 교산 등은 다음 달 중, 고양 창릉과 부천 대장은 10월 중 지구계획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공공택지를 통한 공급은 최소 4~5년은 지나야 입주를 할 수 있다. 당장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이어지는 ‘입주 절벽’ 앞에 놓인 실수요자들에게는 희망 고문 같은 상황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4만2000가구로 지난해 5만7000가구보다 35% 감소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달부터 시행된 다주택자 등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로 기존 아파트에 대한 매물 잠김이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