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 감축 대신 무급휴직…쌍용차, 회생 돌파구 만들까

입력 2021-06-02 14:53
쌍용차 노조 정일권 위원장이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쌍용차 정상화 염원 탄원서를 제출하기 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쌍용자동차가 대규모 인력 감축 대신 직원의 절반가량을 대상으로 최대 2년간 무급휴직을 실시하는 자구안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구안은 노조 측의 동의를 얻어 법원에 제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전날 노조 측에 직원 무급휴직을 통해 고정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이 담긴 자구안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구안에는 기술직 50%와 사무직 30% 인원이 무급휴직에 들어가고, 1년 뒤 차량 판매 등 경영상황에 따라 추가로 무급 휴직을 1년 연장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더불어 쌍용차는 2023년 6월까지 2년간 임금 삭감, 복리 후생 중단을 연장하는 내용을 자구안에 담았다. 현재 임원 임금을 20%씩 줄인 쌍용차는 이달부터 추가로 20%를 삭감해 총 40%를 줄이는 방안도 마련했다. 미지급 임금이나 임금 삭감분, 연차수당 등은 회생절차 종료 후 순차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쌍용차의 이같은 자구안 마련은 인력 감축을 골자로 한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노조 측의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쌍용차는 2009년 법정관리 때 대규모 정리해고를 결정해 대규모 파업 사태로 번진 바 있다.

다만 쌍용차는 이번 자구안을 마련하면서 경영정상화가 이뤄질 때까지 임금 인상이나 파업을 자제하는 내용 등을 노조 측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금협상을 제외한 단체협상 변경 주기는 기존 2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담았다.

쌍용차 노조는 이날 시간대별로 조합원들을 모아 사측이 제시한 자구안에 대해 설명했다. 오는 7,8일에는 모든 조합원을 대상으로 노사 특별합의 조합원 총회 투표를 실시해 찬반 여부를 가린다.

쌍용차는 이달 초 매각주간사를 선정하고 매각 작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