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대응체계 개편한 파주시, 1년 새 산불 56% 감소

입력 2021-06-02 12:33
산불 현장에서 진화 작업 중인 헬기. 파주시 제공

경기 파주시가 산불대응센터를 신설하고 산불진화대를 강화하면서 올해 상반기 산불이 전년보다 5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주시는 올해 상반기 총 8건의 산불이 발생해 지난해 같은 기간 총 20건의 산불보다 56%가 감소하고 소실된 산림의 면적도 5.14㏊에서 1.76㏊로 65.8% 줄었다고 2일 밝혔다.

시는 산불대응센터와 거점대기소 신설, 산불진화대 인력 및 처우를 개선하는 산불대응체계 개편을 산불 감소의 이유로 꼽았다.

실제 파주시 산불 발생 건수를 보면, 2018년 6건의 산불이 발생해 0.55㏊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던 반면, 2019년에는 11건이 발생해 16㏊가 소실됐다. 지난해에는 20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산림 5.26㏊가 훼손됐다.

이처럼 산불 발생 건수는 계속 늘고 있지만, 파주는 다른 시·군보다 면적(6만7289㏊)이 넓고, 산림(2만7188㏊)도 많아 산불 발생 시 초기 대응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에 파주시는 기존의 문산읍 산림보호센터 외에도 파주시 봉암리에 ‘산불대응센터’를 설립, 권역별로 분리해 산불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특히, 산불 발생 시 현장에 투입되는 산불진화대의 지원도 강화했다. 우선, 인원을 기존 30명에서 55명으로 대폭 늘렸고, 산불감시원(55명) 운영은 중단했다.
파주시산불대응센터 개소식. 파주시 제공

산불감시원의 주 업무가 소각행위 단속 및 산불 발생 확인 등이지만, 같은 지역 주민인 감시원이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엄격하게 단속하기 힘들고 산불 발생 시 초동 대처도 어려웠기 때문이다.

반면, 산불진화대는 30명(6조)이 활동을 해도 면적이 넓어서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 진화가 어렵고, 이로 인한 업무 과중도 심했다. 이에 국도비 보조사업으로 최저임금을 받던 산불진화대에게 시 예산을 지원해 감시원처럼 통상임금을 지급했다. 거점대기소 6곳을 신설해 늘어난 진화대를 읍·면 별로 배치하고, 산불 원인 행위에 대한 단속 등도 병행했다.

이같이 감시원 운영 중단으로 절감된 예산 8억여원은 진화대 인건비 등 처우개선과 진화 차량 5대·무선통신기기 15대·산불재난 안전통신기 50대 등 구입, 산림보호센터 및 거점대기소 신설 등에 사용됐다. 또 산불진화헬기 운영 기간도 170일에서 200일로 연장했다.

그 결과, 진화대가 산불 발생 시 현장까지 투입되는 시간은 기존 35분에서 20분으로 단축돼 초기 진압을 좌우할 골든타임인 30분을 달성했다. 산불 예방 활동(계도 및 단속) 강화로 소각산불 발생률도 줄었다.

파주시 산불 발생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파주시 평균 산불 발생 건수는 11.3건(상반기 기준)으로 올해 상반기(8건)에는 29.4% 감소했다. 특히 이로 인한 피해면적도 같은 기간 7.23㏊에서 75.6%가 적은 1.76㏊ 수준에 그쳤다. 과태료 부과 건수도 상반기 25건(544만원)으로, 전년도 7건(190만원) 대비 259%(207%) 늘었다.
파주시 산불종합센터 현황. 파주시 제공

앞으로 시는 개편된 산불대응체계의 원활한 운영과 산불진화대 등 산림분야 근로자의 처우 개선 등을 위해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산림분야 기간제 근로자 채용 시기를 기존 산불 및 병해충 발생 시기에 따라 연 3회에 걸쳐 선발했지만, 앞으로 연 1회 채용으로 전환해 응시자의 부담을 줄이고 고용 불안정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최근 치유와 교육을 목적으로 숲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지만, 기후변화 및 산불로 인해 산림재해가 점점 대형화 및 집단화되고 있다”며 “파주시는 상시 출동 및 초동진화 태세 유지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산불피해를 최소화해 국토보전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주=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