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여름 장마 시작 전 댐·하천 등 홍수 취약구간 개선 조치를 마무리한다.
환경부는 16개 시·도 부단체장과 영상회의를 열고 홍수기(6월 20일~9월 20일)에 대비한 각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태세를 점검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홍정기 환경부 차관 주재로 각 지자체의 홍수기 대응 태세와 환경시설 관리실태를 점검하고, 철저한 대비태세 유지를 당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환경부는 지난 3월부터 국토교통부·지자체와 하천합동안전점검을 실시하고, 댐 방류에 따른 하류 지역의 제약사항을 조사했다. 그 결과 국가·지방하천의 시설물 미비 사항을 719건 발견했고, 방류제약사항을 1095건 찾았다. 환경부는 6월까지 하천 시설물 유지보수 등 조치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환경부는 작년과 같은 대규모 홍수피해를 막기 위해 특별 관리 구간을 확대했다. 홍수특보지점은 지난해 66곳에서 올해 75곳으로 늘렸고, 홍수정보 제공 지점은 지난해 409곳에서 올해 534곳으로 확대했다. 지역과 소통 강화를 위해 댐 수문 방류 사전예고제,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홍수관리 소통 회의도 연이어 개최했다.
홍 차관은 시·도 홍수기 대응대책 회의에 이어 제4차 통합물관리 추진단 회의를 주재하고, 수문·기상 간 연계 강화를 위한 제2차 관계기관 모의훈련 계획 등을 논의했다. 지난달 30일 관계기관 합동 모의훈련에서는 홍수특보 발령에 따른 긴급상황 대응 체계를 점검했다. 6월 4일 시행 예정인 2차 모의훈련에서는 기상청·홍수통제소·한국수자원공사 합동 기상예보 토의와 기상정보에 따른 댐 사전방류 등을 중점 점검할 계획이다.
홍 차관은 “자연 재난대책 기간(5월 15일~10월 15일) 및 홍수기가 시작됨에 따라 각 기관의 비상상황실 운영과 긴밀한 연락체계가 제대로 유지돼야 한다”면서 “현장에서 직접 주민들과 소통하는 지자체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점을 인식하고 책임감을 가지고 홍수 대응 점검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