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청 로봇랜드 토사 제3연륙교 건설에 사용

입력 2021-05-31 10:48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국제도시 로봇랜드 일대 토사 적치 모습. 토사를 구하기힘든 영종국제도시에서 귀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제공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인천시 미래산업과 및 ㈜인천로봇랜드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제3연륙교 건설 공사에 필요한 토사를 무상으로 확보, 약 63억원의 사업비를 절감하게 됐다고 31일 밝혔다.

경제청에 따르면 건설공사 현장에서 순성토(쌓을 흙) 필요시 일반적인 경우 토취장을 확보후 토사 운반비만 설계에 반영하게 되나 도심지나 영종도처럼 섬 지역에서는 토취장(임야 등) 확보가 어려워 토사 구입비 및 운반비를 함께 설계에 반영해 시공사가 직접 토사를 확보하게 된다.

이와 관련,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9월 제3연륙교 2공구 공사현장 인근에 위치한 인천로봇랜드 조성과 관련한 사토 반입 및 부지 정지공사 과정에서 인천 시내 아파트 공사 현장 등으로부터 양질의 토사를 반입한다는 것을 파악하고, 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 주무부서인 시 미래산업과 및 ㈜인천로봇랜드와 적극적인 업무협의를 통해 인천로봇랜드가 사용하는 토사 외에 추가적으로 양질토사를 무상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확보한 토사는 25톤 덤프트럭 기준 4만5600대에 달하는 총 54만7000㎥다.

제3연륙교 건설 공사에 필요한 △1공구 26만3044㎥ △2공구 21만8412㎥ △3공구 및 제작장 등 추가 소요수량 6만5544㎥가 확보된 셈이다.

이에 따라 제3연륙교 원안 설계 당시 반영한 토사구입 및 운반비 총 63억원의 사업비를 절감하게 됐다.

인천경제청은 이번 양질의 토사 무상 확보로 예산 절감은 물론 제3연륙교 건설 과정에서의 양질토사 부족으로 인한 사업차질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태안 인천경제청 영종청라사업본부장은 “관련부서 및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협조로 제3연륙교 공사 과정에 필요한 양질의 토사를 확보하게 됐다”며 “차질 없이 제3연륙교 건설을 추진하기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3연륙교는 길이 4.67㎞, 폭 29m의 왕복 6차로와 보도 및 자전거 도로로 건설된다. 3개 공구로 나눠 진행 중인 제3연륙교는 물량장과 해상준설 등 우선 시공분인 3공구가 지난해 말 착공됐다.

1, 2공구는 오는 7월 중 기술제안서 평가를 실시, 낙찰자를 선정한 후 오는 10월 착공해 2025년 12월 준공될 예정이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