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권 레이스에서 벌써부터 ‘반(反) 이재명 전선’이 빠르게 형성되고 있다. 아직 후보 등록도 진행되지 않았지만 1등 후보에 대한 견제는 점차 거세지고 있다. 이 지사에 대한 공세는 그의 시그니처 공약인 ‘기본소득’에 대한 비판으로 집약되는 분위기다.
최근 검찰개혁을 강조하며 친문(친문재인) 지지층의 표심을 공략하고 있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30일 유튜브 정세균TV에서 이 지사의 기본소득 정책을 작심 비판했다. 정 전 총리는 기본소득에 대해 “현 시점에 필요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면서 “기본소득이 정책대안으로 공론에 부쳐진 것은 이 지사의 공이 크지만, 민주당의 당론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지사는 동일하게 나눠주되 과세를 통해 형평을 기하자는 입장이지만, 국민들이 우선 소액이라도 받아보고 효능을 느끼면 증세에 동의할 것이란 믿음은 동화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라고 직격했다.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이광재 의원도 이날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50만원씩 5000만명을 주면 25조원이 드는데 1인당 한 달에 4만원밖에 안된다. 기본소득의 문제의식은 의미가 있으나 그 돈을 아껴서 어려운 사람한테 주는 게 낫다”면서 “전면적인 실시는 어렵기 때문에 결국 시범실시 정도로 후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쌀독에서 인심이 나는 것은 알지만 그 쌀독을 누가 채울 것이냐”고 반문했다. 앞서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도 지난 26일 재원 문제를 들어 시기상조라고 비판한 바 있다.
여당 대권 레이스 후발 주자들이 ‘반 이재명 스크럼’을 짠 것은 대선 후보 경선이 석달여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 이 지사의 견고한 지지율을 무너뜨릴 만한 뾰족한 수가 보이지 않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 때문에 이 지사에 대한 공세가 경선이 진행될 수록 더욱 거칠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 지사는 당내 기본소득 비판에는 별도로 대응하지 않은 채 오세훈 시장과의 복지 논쟁에만 반응하고 있다. 사실상 당내 비판에 대해서도 오 시장과의 ‘설전’을 통해 반박하고 있는 셈이다. 이 지사는 이날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도 기본소득에 대해 “공론화를 거쳐 순차적, 점진적으로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민주당 대선 경선 연기론이 점차 사그러들면서 여당 대선주자들은 내달 출마 선언을 준비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6월 10일 전후, 정 전 총리는 6월 중순쯤 출마선언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사는 경선 후보 등록 직전 출마선언을 할 것으로 보인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