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올림픽·패럴림픽 개최 한달 전까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 조치를 유지하기로 했다.
올림픽이 열리는 도쿄의 경우 이번 재연장 결정으로 3차 긴급사태 조치가 57일간 적용되게 됐다.
일본 정부는 28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 주재로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를 열어 도쿄 등 9개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자치단체) 지역에 이달 말까지 시한으로 발효 중인 긴급사태를 다음 달 20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긴급사태 적용 지역에서는 주류를 제공하는 음식점의 휴업 요청, 대형 상업시설의 휴업 또는 영업시간 제한(오후 8시까지) 등 기존의 감염 예방대책이 계속 시행된다.
스가 총리는 “전국 감염자 수가 5월 중순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지역에 따라 증가하는 곳도 있는 등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연장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25일부터 도쿄와 오사카, 교토, 효고 등 4개 지역에 코로나19 방역 대책을 강화하기 위한 3번째 긴급사태를 선포했다.
그러나 전염력이 한층 강해진 변이 바이러스 확산 영향으로 신규 확진자가 줄지 않으면서 의료체계 붕괴 위험도 커지자 긴급사태를 이달 말까지 연장했다. 대상 지역은 홋카이도, 히로시마, 오카야마, 후쿠오카, 아이치 등 5개 지역을 추가했다.
지난 23일부터는 오키나와현도 새롭게 포함됐다.
일본 정부가 긴급사태 해제 시기를 다음 달 20일로 정한 것은 올림픽 개최 분위기를 띄워 보겠다는 의도가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날(27일)까지 1주일간 일본의 일평균 신규 확진자는 4229명으로, 이번(3차) 긴급사태가 발효한 4월 25일(4674명) 시점과 비교해선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반복되는 긴급사태 선포와 연장에 따른 피로감이 쌓이면서 이번 조치가 성과를 낼지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도쿄 지역은 신규 확진자의 80% 이상이 영국발(發)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파악되는 등 전염성이 더 강한 변이 바이러스 중심으로 감염원이 바뀌는 것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영국발 변이보다도 감염력이 1.5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인도발 변이 바이러스 유입도 변수로 꼽힌다.
한편 도쿄 등지의 긴급사태 연장 결정 하루 전인 27일 도쿄 684명을 포함해 총 4140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이날까지 전체 확진자는 73만5496명으로 늘었고, 누적 사망자는 하루 새 111명 증가해 1만2751명이 됐다.
인공호흡기 치료 등을 받는 중증자는 1천371명으로 집계됐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