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정유업계가 수소사업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GS칼텍스는 28일 한국가스공사와 ‘액화수소 생산 및 공급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액화수소사업 밸류체인을 세우기 위해 액화수소 플랜트·액화수소 충전소·수소 추출설비를 구축하고 CCU(탄소 포집∙활용) 기술 실증 및 상용화 등 액화수소사업 전반에 걸쳐 협업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한국가스공사의 LNG 인수기지 내 유휴부지에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연산 1만t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짓기로 했다. 이는 수소 승용차 기준으로 약 8만대가 연간 사용 가능한 양이다. 완공 시점에 맞춰 수도권과 중부권에 액화수소 충전소도 수십곳 규모로 세울 계획이다.
업계는 수소발전 시장으로의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현대오일뱅크는 최근 한국남동발전과 ‘신재생에너지 사업 공동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현대오일뱅크는 수소를 생산해 공급하고, 한국남동발전은 연료전지 발전소 운영 노하우를 제공함으로써 합작 발전 법인에서 전기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탄소중립 등이 화두가 되면서 정유업계에서도 화석연료 대신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대비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앞서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 3월 수소의 생산에서부터 운송·저장·활용에 이르는 수소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그룹 규모의 수소사업 비전인 ‘수소 드림(Dream) 2030 로드맵’을 발표하기도 했다.
다만 수소 에너지 상용화가 목표한 만큼 실제로 빠른 시일 내 현실화될지 의구심을 표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기판매사업자에게 수소 발전 구매를 의무화하는 제도 등이 마련돼 있지 않아 수소발전 사업에 뛰어들 유인이 없었다”며 “수소를 생산하는 것만큼이나 수송을 위해 수소를 압축하는 기술도 필요한데, 자체 기술은 마련돼 있지 않아 이러한 기술을 가진 해외 업체로부터 들여와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소사업의 경제성 제고를 위해 제도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이원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지난 24일 발의하기도 했다. 개정안은 전기판매사업자를 대상으로 일정량의 청정수소 발전 구매를 의무화하는 내용 등을 포함한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