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정부가 독일 바이오인테크와의 백신 계약이 무산된 원인으로 ‘외부요인’을 지목했다.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만 현지언론 연합보는 28일 천스중 위생부장(보건부 장관)이 전날 “독일 바이오엔테크와의 계약이 좌초된 원인은 ‘계약서 밖의 문제’에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바이오엔테크는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함께 코로나19 백신을 공동개발한 회사다.
천 부장에 따르면 대만 정부는 지난해부터 바이오엔테크와 물밑접촉을 해왔다. 대만은 지난해 8월부터 바이오엔테크와 접촉했다. 연말 최종 확인을 거쳐 지난 1월에는 내각 격인 행정원의 동의를 거쳐 최종 계약 성사를 발표만 앞두고 있었다,
그러나 바이오엔테크가 계약 성사 직전 보도자료 어휘를 가지고 조정 요청을 해오면서 상황이 어그러졌다. 천 부장은 “지난 1월8일 바이오엔테크에서 보도자료 상의 ‘우리나라(我國)’를 ‘대만’으로 고쳐달라는 요청을 해 와 받아들였는데, 일주일 뒤 ‘전세계 백신 제조 일정과 분배를 위해 계약을 수 주 후로 미루자’는 연락 뒤 더 이상 접촉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천 부장은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의 개입이 있었다는 점을 시사했다.
앞서 차이잉원 대만 총통은 지난 26일 여당 민진당과 가진 당정 회의에서 “독일 바이오엔테크 백신 계약 체결을 눈앞에 두고 있었지만, 중국의 개입으로 현재까지 성사시킬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천 부장의 설명은 차이잉원 총통의 발언을 부연해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엔테크와의 화이자 백신 계약이 지지부진한 사이, 대만 정부는 미국 모더나와 코로나19 백신 공급계약을 새로 체결했다. 대만은 이날 15만회분의 모더나 백신을 룩셈부르크에서 중화항공편으로 수송해 공급할 계획이다. 그러나 화이자 백신의 수급이 지연되면서 당초 계획했던 백신 접종 계획은 크게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보는 “백신의 물량이 빠듯해 8월이 돼야 충분한 백신이 공급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와 별개로 중국은 꾸준히 대만에 ‘백신지원’ 카드를 내밀고 있다. 중국의 대만 사무 담당 부처인 대만사무국은 지난 24일 성명을 내고 “전염병과 싸우는 대만 동포 다수가 가능한 빨리 본토의 백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대만의 중국 담당 부처인 대륙위원회는 “대만이 백신을 얻는 데 있어 진짜 장애물은 중국이라는 사실을 모두가 알고 있다”고 반박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