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코로나19 관련 격무에 시달리던 간호직 공무원이 극단적 선택을 한 지 5일 만에 박형준 부산시장이 고인과 유족에게 위로의 말을 전하며 고개를 숙였다.
박 시장은 28일 부산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일선 보건소 인력 보강과 근무 여건 대책을 밝혔다. 박 시장은 먼저 “코로나19 최일선에서 분투하던 간호직 공무원이 유명을 달리했다”며 “고인의 명복을 빌며 슬픔에 잠긴 유족에게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시는 다시 이런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담아 보건소 간호사 등 현장 의료 인력 보강과 근무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고 덧붙였다.
우선 시는 보건소의 부족한 의료 인력을 당초 계획보다 빨리 신규 충원·배치키로 했다. 부산시 관내 보건소의 적정 인력은 1000여명이지만, 휴직 등의 사유로 현재 근무하고 있는 정규 인력은 930여명이다. 시는 휴직 인원까지 고려해 올해 총 134명(간호 73, 보건 37, 의료기술 24명)을 선발하고 10월 말쯤 배치할 계획이었으나, 계획을 한 달 앞당겨 9월 중에 조속히 배치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신규인력 충원 전에도 업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간호사 등 의료 인력 90여명을 한시 인력으로 채용해 방역 현장에 투입한다. 이 외에 코로나19 관련 보조 인력 900여명을 추가로 배치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근무 여건 개선에도 힘을 쏟겠다고 했다. 그는 “당장 충원을 해야 하는 부족 정규인력 70여명 외에도 여유 인력 70여명을 더 채용하는 만큼 원하는 직원은 휴직 등 즉각 휴식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휴직으로 결원이 생길 시 즉각 인력을 대체해 현장의 의료공백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코로나19 현장 대응부서와 지원부서 간의 교차근무·근무교대를 통해 현장 근무에 투입되는 기간을 줄이고, 휴식시간을 충분히 보장해 현장 근무자의 피로도를 덜어줄 계획이다. 코로나19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전 직원에게 3~5일간의 특별휴가를 차례로 주어 순차적으로 쉴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안병선 부산시 복지건강국장은 “일선 보건소에 간호직 정규직 비율은 50∼60% 정도에 불과한데 역학조사나 코호트 관리 등 업무에는 관리 책임 때문에 비정규직 인력을 투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정규직 업무 부담이 커 최대한 역할과 업무를 나누고 장기적으로 정규직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자기 업무가 아닌 일을 떠맡아 심리적, 신체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일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어 전체적인 상황을 조사해 추가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