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사회 대전환”… 한·EU, 협력방안 주목

입력 2021-05-27 16:12
한정애 환경부 장관(오른쪽)이 지난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블랙야크 양재점을 방문해 투명페트병에서 뽑아낸 섬유로 만든 티셔츠를 선보이고 있다. 환경부 제공

한국과 유럽연합(EU) 주요국이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폐기물 없는 제로웨이스트(Zero-Waste)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순환경제 실천 전략 수립에 머리를 맞댄다. 세계 공통의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협력 방안이 도출될지 주목된다.

정부는 오는 31일 열리는 P4G 정상회의에 각국의 정부·국제기구·기업·시민사회·전문가 등이 모여 ‘순환경제 전략에 의한 제로웨이스트 사회’를 주제로 논의한다고 27일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선형경제를 순환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고 국제사회와 이해당사자들의 실행을 촉구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개회연설자로 나서 ‘탄소중립과 한국의 순환경제 정책 방향’을 발표한다. 올해를 순환경제 전환의 원년으로 삼아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한국형 순환경제 전략 수립에 대한 의지를 피력할 계획이다. 또 순환경제 선도모델 발굴과 불필요한 일회용품·포장재 줄이기 계획, 국제 동맹(GACERE) 가입 등에 대한 정부 입장도 밝힐 예정이다.

환경부는 지난해 9월 수립한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 추진계획’에 기반해 탈플라스틱 전환과 재생원료 수요 확대 등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말에는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제를 도입해 고품질 재활용원료 확보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또 먹는 샘물과 음료류 포장 시 유색페트병 사용을 금지하고, 라벨 없는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을 시행 중이다. P4G 정상회의에서는 불필요한 일회용품과 포장재 사용을 줄이는 생활 속 실천기반 확대 방안도 공유한다.

레아 베르멜린 덴마크 환경부 장관은 기조연설자로 참여해 자국의 순환경제 전략을 설명한다. 각국의 순환경제 법·제도 정비 가속화와 기업의 원재료 지출비용 절감 필요성도 강조할 계획이다. 덴마크는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70% 감축하겠다고 선언한 국가다. 민·관 협업으로 잠재적 감축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에 있다. 15년 전부터 추진된 덴마크의 순환경제 정책은 기후 영향을 줄이고 일자리·수출 증가에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와 함께 EU는 지난해 경제성장과 자원 소비의 탈동조화를 목표로 하는 신(新) 순환경제 행동계획을 발표했다.

롤프 파옛 바젤(스위스)·로테르담(네덜란드)·스톡홀름(스웨덴) 협약 사무총장은 마지막 기조연설자로 나서 ‘순환경제 전환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소개한다. 순환경제 전환이 경제적 가치 창출은 물론 탄소배출 저감,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는 내용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자원회수 때 발생하는 부정적 보건 영향을 줄이고 자원회수 효율성을 끌어올리는 방법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바젤협약은 2019년 플라스틱 수출입 개정안 채택으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법적 구속력을 갖는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체계다. 플라스틱 폐기물 파트너십을 강화해 이해관계자 간 협력을 촉진하는 가교 역할을 한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

[탄소중립, 녹색 미래를 향해]
▶①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