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 매체가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대만 문제가 언급된 것을 두고 “잘못된 일이라고 시인하라”는 주장을 폈다. 중국 정부는 ‘내정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는 공식 언급 외에 추가 대응을 하지 않고 있지만 관영 매체가 나서 논란을 부추기는 모습이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27일 “중국은 한국이 공동성명에서 대만해협과 남중국해를 언급한 것을 이해한다”면서도 “한국은 한·중 관계의 역행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한·미 정상회담 이후 중국 측 반발을 달래기 위해 내놓은 설명도 상세히 전했다. 정 장관은 “한국 정부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하고 양안 관계의 특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공동성명은 특정 국가를 겨냥한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뤼차오 중국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중국 입장에서는 한국 정부의 설명이 죄책감을 느끼는 것처럼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공동성명에서 대만해협을 언급한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대범하게 인정한다면 더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한국은 대만 섬에 대해선 아무 말도 하지 말았어야 한다”며 “한국은 한·중 관계에 차질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해야 하고 미국의 함정에 빠지지도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상 중국 관영 매체는 정부 입장을 그대로 전하거나 정부가 공식적으로 하기 힘든 말을 대신해주는 창구로 활용된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24일 정례브리핑에서 대만 문제가 언급된 한·미 공동성명에 대해 “내정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며 “불장난을 자제하라”고 반발했다. 다만 중국 정부의 반발은 지난달 미·일 정상회담 공동성명이 나왔을 때보다는 강도가 약했다.
뤼 연구원은 “중국은 한국이 고개를 들 수 없을 정도로 비난하지는 않았다”며 “이는 미국 계획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한·중 사이에 불협화음을 일으키고 한국을 대중 봉쇄 정책에 동참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타임스는 “(한·미 정상회담 이후) 한국 정부의 설명은 ‘미국에 완전히 기울 생각이 없다’는 메시지를 미국에 전달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고 해석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