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려면 국가공모사업에 비수도권 지역가점을 도입하고, 실질적인 행정수도 완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행정수도 완성 및 국가균형발전 충청권 민·관·정 협의회는 26일 오후 세종시청 여민실에서 ‘충청권 상생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국회세종의사당 건립과 충청권 메가시티 전략 방안’을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은 1부에서 국회법 신속처리를 위한 퍼포먼스가 열렸다.
2부에서는 18대 환경부 장관을 역임한 조명래 교수가 ‘국회세종의사당 건립과 행정수도 완성과제’를 주제로, LH토지주택연구원의 황희연 원장이 ‘국회세종의사당 건립과 메가시티’라는 주제로 각각 발제했으며 패널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 자리에서 비수도권이 국가 공모사업에서 수도권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시장은 “대전시의 ‘k-바이오랩 허브’ 유치사업처럼, 현재 국가 공모사업에서 비수도권 지역은 서울과 수도권에 비해 힘·재정·기반 등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공모사업 평가 시 국가 균형 가점을 부여하는 등 공정한 경쟁을 위한 제도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국회의사당 뿐 아니라 청와대까지 이전돼야 한다”며 “대전과 세종이 함께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양승조 충남도지사 역시 “균형발전은 대한민국의 생존과 도약을 위한 필수 과제”라며 “균형발전 없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고, 지방 발전 없이 국가 경쟁력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양 지사는 “국토 면적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인구의 절반은 물론 정치와 경제, 교육, 문화, 산업 등 모든 분야가 집중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미래와 통합, 도약을 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을 살리고 고른 균형 속에 함께 잘 사는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만들어야 한다. 청와대와 국회, 정부 각 부처가 함께 모여 행정수도를 완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