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대변인 “바이든, 미국 선수단 지원”
선수단은 파견…일반 국민들, 올림픽 여행 자제 ‘의도’
미국 불참하면 도쿄올림픽 개최 여부도 장담 못해
일본 코로나19상황 최대 변수
미국 국무부의 ‘일본 여행금지’ 권고 조치가 미국의 올림픽 불참 가능성 논란으로 비화되자 백악관이 직접 “미국 선수단 파견을 논의하고 있다”고 해명에 나섰다.
이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 선수단은 도쿄올림픽에 파견하되, 미국 국민들의 올림픽 관람은 자제시키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이 아닌가 하는 분석이 제기됐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25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올림픽에 대한 우리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면서 “우리는 일본 정부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숙고하는, 주의 깊은 고려를 이해한다”고 말했다.
사키 대변인은 이어 “(일본) 정부는 올림픽 개최를 계획하면서 공중 보건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라는 사실을 강조해왔다”면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선수단을 자랑스럽게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사키 대변인은 “그들의 엄격한 코로나19 규정 내에서 우리가 올림픽에 선수단 파견을 논의하고 있다는 것을 나는 주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키 대변인은 또 “선수단 파견은 올림픽을 위해 일본 방문을 계획하는 미국 여행객들 중 매우 제한된 범주의 하나”라며 “주최 측이 (올림픽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한 아주 구체적인 입국과 이동 규정, 절차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국무부 대변인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올림픽을 위해 훈련해왔고, 올림픽 정신이라는 최고의 전통 속에 경쟁할 미국 선수들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미 국무부는 지난 24일 일본에 대한 여행경보를 3단계인 ‘여행 재고’에서 최고 단계인 4단계 ‘여행금지’ 권고로 격상했다. 일본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됐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미 국무부가 도쿄올림픽 개막을 두 달 앞둔 상황에서 여행금지 권고를 내리자 미국이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이 불참 결정을 내릴 경우 도쿄올림픽 흥행에 엄청난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넘어 개최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여행금지 권고 격상 조치가 엄청난 후폭풍을 낳자 백악관과 국무부가 총출동해 진화에 나선 것이다.
미국 올림픽·패럴림픽위원회(USOPC)도 여행금지 권고가 미국 대표팀의 올림픽 출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16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에서 안전한 올림픽 개최를 위한 일본의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최대 변수는 일본의 코로나19 상황이다. 코로나19가 더욱 번질 경우 도쿄올림픽 개최를 장담할 수 없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일본 내에서 도쿄올림픽 취소 여론이 높은 것도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