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올해 청년정책에 4500억대 투입한다

입력 2021-05-26 07:53

경기도가 올해 청년정책에 4500억여원에 달하는 대규모 재정을 투입키로 했다.

청년들이 저성장,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과거 세대와 다른 경험·인식을 지니게 됨에 따라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경기도는 최근 ‘2021년 제1차 경기도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 ‘2021년 경기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시행계획은 ‘청년의 행복한 삶을 지원하는 복지+ 경기도’ 비전과 ‘청년의 정책 참여 확대 및 권익 향상’ 목표로 일자리 18개, 주거 4개, 교육 7개, 복지·문화 6개, 참여·권리 7개 등 5대 분야 42개 사업에 걸쳐 총 4511억원(국비 포함)의 예산을 책정했다.

일자리 분야는 경기도 대표 정책인 ‘청년면접수당’(취업 면접 참여 시 최대 30만원 지급), ‘청년노동자통장’(매월 10만원 저축으로 2년 만기 시 580만원 지급) 등에 이어 올해부터 ‘경기청년 일자리 매치업 취업지원사업’(청년 구인 기업 발굴, 청년 구직자 인턴으로 연계해 70% 이상 정규직 채용)이 신규 추진된다.

주거 분야는 부동산 문제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년들을 위해 기존주택을 매입해 개보수 후 저렴하게 공급하거나 ‘청년 맞춤형 임대주택’(행복주택)을 제공한다.

교육 분야는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 ‘경기도형 대학생 취업브리지’(대학과 기업이 전공교육과정을 공동 개발·운영하고 채용까지 연계) 등 기존 사업을 지속한다.

경기도 핵심 사업이 집중된 복지·문화 분야에는 6개 사업에 걸쳐 예산의 절반에 이르는 2143억여원을 투자한다.

만 24세 청년에 분기별 25만원을 지급하는 ‘청년기본소득’, 군대에서 상해사망·후유장해 시 최대 5000만원을 지원하는 ‘군복무 경기청년상해보험’, 만 13~23세에 연간 대중교통비 12만원을 지원하는 ‘청소년 교통비’ 등이다.

청년 맞춤형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참여·권리 분야에는 대표적으로 ‘청년정책 거버넌스 운영’이 있다.

청년 200여명이 참여할 ‘청년참여기구’를 통해 정책을 제안받고, 청년과 전문가 등 20명으로 구성된 ‘청년정책조정위원회’가 정책 심의에 집중해 수요자 중심의 정책 추진으로 정책 실효성을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정현아 도 청년복지정책과장은 “경기도는 청년 문제를 사회 구조적·경제적 문제로 인식하고, 청년의 행복한 삶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