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 한 고등학교에서 운영하는 ‘사과 순례’ 제도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사과 순례는 징계 처분 중 하나로, 학생들이 교사 15명을 찾아가 자신의 잘못을 설명하고 서명을 받아오도록 하는 제도인데요. 이에 대해 ‘선을 넘은 부적절한 징계’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무슨 일인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지난 25일 한 맘카페에 ‘A고 제도 건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조언 부탁드려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자신을 ‘A고 재학생 학부모’라 밝힌 글쓴이는 “A고에는 ‘사과 순례’라는 제도가 있다. 사과 순례는 학생이 잘못한 경우 담임과 교감을 포함한 15명의 선생님께 일일이 찾아가 잘못한 내용을 말하고 훈계받은 표시로 사인을 받아온 뒤 반성문을 함께 쓰는 제도”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처음 이 이야기를 들었을 때 얼마나 큰 잘못을 하면 이렇게까지 하나 싶었다”라며 알고보니 겨우 ‘지각 두 번’이 사과 순례의 이유였다고 전했습니다.
글쓴이는 “어른도 회사에서 잘못했을 때 직속 상사 외 15명의 상사에게 시말서 써야 한다고 하면 진절머리가 날 것”이라며 “차라리 따끔하게 혼내고 말지 애들 수치심 느끼게 해서 교칙 위반을 막겠다는 건가”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결국 글쓴이는 교육청에 민원을 넣고 SNS를 통해 해당 사실을 알리기로 했는데요.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이건 훈육이 아니라 괴롭힘이다” “지각으로 저런 벌을 주다니” “누가 만든 제도냐” 등 날 선 비판을 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논란이 된 A고등학교 외에도 전국 여러 학교에서 징계 목적으로 사과 순례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잘못을 저질렀을 때는 물론 적절한 처벌이 필요하겠지만 훈육을 명분으로 모든 벌이 용인돼서는 안 되겠지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사연뉴스]는 국민일보 기자들이 온·오프라인에서 접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독자 여러분과 공유하는 코너입니다. 살아 있는 이야기는 한 자리에 머물지 않습니다. 더 풍성하게 살이 붙고 전혀 다른 이야기로 반전하기도 합니다. 그런 사연의 흐름도 추적해 [사연뉴스 그후]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연뉴스]는 여러분의 사연을 기다립니다.
정인화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