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쇼 백신 맞고, 혜택도 누리세요”… 접종률 높이기 총력전

입력 2021-05-25 18:03
지난 14일 서울 서대문구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에서 백신을 접종한 어르신들이 이상반응 관찰구역에서 대기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정부가 폐기되는 코로나19 백신을 줄이기 위해 ‘잔여 백신’ 예약 시스템을 개선한다. 공적 마스크처럼 주변 병·의원에 남아있는 백신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골자다. 적극적인 백신 인센티브도 곧 도입될 전망이다. 집단면역 최대 관건인 접종률을 끌어올리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잔여 백신 물량을 조회·접종할 수 있는 기능을 새로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맞을 사람을 찾지 못해 폐기되는 백신을 최소화하겠다는 게 이유다. 오는 27일부터는 네이버와 카카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인근 위탁의료기관에 백신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바로 당일 접종을 예약할 수도 있다.

백신을 담은 바이알(병)의 개봉 기준도 함께 완화됐다. 10회 접종분이 담긴 아스트라제네카 바이알 하나를 개봉하려면 기존에는 예약자가 최소 7명 있어야 했는데, 추진단은 이를 5명만 있어도 열 수 있게 바꿨다.

이번 결정에는 접종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산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잔여 백신은 본인 차례가 아닌 사람도 누구나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전 예약 시작 엿새 만인 지난 12일 46.9%를 기록한 만 70~74세의 접종 예약률은 이후 점차 더디게 올라 이날 0시 기준 67.7%로 집계됐다. 만 65~69세 예약률은 62%다.

정부가 이번 주 중 내놓겠다고 한 ‘백신 인센티브’의 윤곽도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서울 구로구는 그간 폐쇄해온 관내 경로당을 다음 달부터 백신 접종자에게 개방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상 경로당은 원래 개방 가능한 시설이지만, 접종 여부를 기준으로 시설 이용에 차등을 두기에 사실상의 백신 인센티브로 볼 수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백신·치료제 특별위원회는 백신 접종자에 한해 사적 모임 금지·다중이용시설 이용시간 제한 등을 완화 적용하는 안을 전날 정부에 건의했다.

다만 어디까지 인센티브를 줄지는 아직 미지수다. 통상 2차 접종 후 2주 경과해야 면역이 완전히 형성된 것으로 보지만, 구로구는 1차 접종으로부터 2주만 지나도 경로당 이용을 허용하기로 했다. 근거는 1차 접종만으로도 89.5%의 예방효과를 보인다는 질병관리청의 분석 결과였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1차 접종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일괄적으로 가이드를 말씀드리기엔 정리가 필요하다”고 즉답을 피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차 접종 후 2주 뒤부터 백신 효과가 높아지지만 완전치는 않다”고 지적했다.

2회 접종을 마치고 2주가 지났는데도 코로나19에 확진되는 ‘돌파감염’ 사례는 국내에서 3건이 추가로 보고됐다. 방대본은 누적 148만2842명의 접종 완료자 중 돌파감염은 총 4건만 확인됐고 백신으로 중증화·추가 전파도 막을 수 있다며 접종 동참을 당부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