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용산~한강 잇는 7㎞ ‘국가상징거리’ 조성한다

입력 2021-05-25 10:06

새로운 광화문광장과 연계해 광화문~용산~한강을 잇는 7㎞의 ‘국가상징거리’가 조성된다. 강변북로 재구조화,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및 지상부 활용방안 용역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이 사업들을 포함한 44조 6494억원 규모의 2021년 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 25일 서울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올해 본 예산 대비 4조 2370억원(10.5%) 증가한 규모다. 이번 추경은 민생회복(3360억 원), 안심・안전(5008억 원), 도시의 미래(4029억 원) 등 3대 분야 11대 과제에 집중 투입된다.

우선 청년 주거안정을 위해 청년월세지원 대상자를 지난해 5000명에서 올해 2만7000명까지 5배 이상 대폭 늘린다. 또 주거, 복지, 보육, 취업‧창업 등 청년지원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청년 몽땅 정보통’을 새롭게 구축해 개인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는 2조원 규모의 무이자・무보증료 융자지원을 실시한다. 플랫폼 배달종사자 약 2만3000명에게는 민간 상해보험 단체가입을 신규 지원한다. 노후 저층주거지에서의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활성화 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에도 착수한다.

오세훈 시장의 핵심 공약인 1인가구 지원을 본격화해 1인가구 병원동행 서비스, 안전취약 1인가구 도어지킴이 설치 지원을 실시한다. 또 여성 1인가구 밀집지역에 ‘안심마을 보안관’을 배치하고, 중장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클러스터형 주택 모델개발에 착수한다. ‘서울형 공유어린이집’도 40곳에서 시범운영을 시작한다.

이와 함께 현재 진행중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과 연계해 광화문~용산~한강 7㎞ 구간을 ‘국가상징거리’로 조성하기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이와 관련해 광장 및 주변부와 연계한 가로 중심의 도시 활성화 방안도 마련한다.

국토부・한국공항공사와 함께 김포공항과 그 일대를 항공산업 물류거점으로 복합개발하기 위한 계획 수립도 시작한다. 전기차는 올해 예정된 물량의 95%에 달하는 물량을 추가하고, 충전 인프라도 확충한다. 서울시는 포스트코로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도 새롭게 구축한다.

아울러 정비사업 현안지역 6곳을 추가로 선정, 정비계획 입안 이전에 도시·건축 종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사전 공공기획안을 마련한다. 공공기여와 사회적 기여를 높이는 단지에는 용적률 상향 및 용도 변경 등 도시계획 인센티브를 제공해 재개발‧재건축의 정상화를 지원한다. 또 자율‧가로주택정비사업 등 소규모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해 정비계획과 기반시설 확충계획을 수립하고 용도지역 추가 세분화와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전략 수립용역에도 나선다.

서울시는 코로나19로 인한 운송수입 감소로 경영난을 겪는 대중교통 운영시설에 손실보전을 실시한다.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소상공인을 위해 6개월 간 한시적으로 수도요금을 감면해주고, 지하철 상가 및 SH 소유 상가 등 공공상가에 입주한 소상공인의 임대료도 감면해 고정비 부담을 덜어준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