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책실장 “中, 사드 때처럼 경제보복 가능성 없어”

입력 2021-05-25 09:37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 연합뉴스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은 25일 한·미 정상이 공동성명에서 대만해협을 언급하고, 중국이 이에 반발하는 것과 관련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때와 같은 경제 보복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청와대는 지난 21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 전후로 외교부 등을 통해 중국과 지속적으로 소통해왔고, 중국도 우리 정부를 이해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전화 인터뷰에서 ‘사드 때처럼 경제보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없겠는가’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본다”고 답했다. 이 실장은 ‘그때(2016년 사드 배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다는 것인가’라는 사회자의 질문에도 “예”라고 했다. 그러면서 “너무 앞서나간 예측”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대만 문제가 언급된 것을 두고 전날 “내정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고 강력 반발했다. 이런 중국 외교부 차원의 표면적 반발이 곧 경제보복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이 실장의 설명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 전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실장은 “중국은 지리적으로도 인접해 있고 무역과 해외 투자 면에서 매우 중요한 경제 협력 대상국”이라며 “한국은 중국과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미국과 중국은 우리에게 모두 중요한 나라”라며 파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 실장은 한·미 정상회담 전후로 발표된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국내 대기업들의 44조 대미투자 계획과 관련해선 “우리 기업 투자는 철저하게 상업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며 “세계시장을 지향해야 되는데 최고 기술이 있는 곳, 큰 시장이 있는 곳을 선점해야 된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또 K반도체 전략 투자계획 규모가 미국에 대한 반도체 투자 규모를 크게 웃돈다며 “외국에 갖다주고 한국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고 상호 보완적으로 산업 생태계가 유지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실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사면론과 관련해서는 “경제계나 종교계, 그다음에 외국인 투자기업들로부터 그런 건의서를 받은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사면은)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그 국민적인 정서라든지 공감대 등도 함께 고려해야 되기 때문에 별도 고려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