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중립과 스마트 물관리”… P4G 정상회의서 해법 찾는다

입력 2021-05-24 20:01
지난 2019년 10월 부산 화명생태공원 진입로가 침수돼 도로 표지판 상단만 보이고 있다. 연합

스마트 물관리로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탄소중립 실현 방안을 논의하는 공론의 장이 이달 말 국내에 마련된다. 저탄소 녹색 경제로 전환하는 각국의 현황을 점검하고 민관 협업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오는 31일 열리는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 각국의 정부·국제기구·기업·시민사회·전문가 등이 모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스마트 물관리’ 방안을 논의한다고 24일 밝혔다.
회의에선 먼저 아이슬란드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환경운동가인 안드리 스나이르 마그나손이 기조연설자로 나서 탄소 발생량 증가에 따른 인류 변화와 대응 방안을 발표한다. 마그나손은 2019년 8월 아이슬란드에서 열린 700년된 ‘빙하 장례식’의 추모비 문구를 쓴 이로 지난해 12월 저서 ‘시간과 물에 대하여’가 국내에 번역·출간되기도 했다. 허재영 국가물관리위원장과 시그리드 카드 네덜란드 외교부 장관은 효율적 물관리와 재이용,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물 갈등 해소 방안, 네덜란드 물관리 정책 등을 설명한다.
인공지능(AI)·빅데이터 전문가인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이 사회자로 나서는 패널 토론에서는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공공부문에서의 효율적 물관리와 기후위기 경영을 소개할 예정이다. 세계적 물기업 수에즈의 아나 히로스 부사장은 최신 스마트 물관리 기술과 미래 유망 기술을 선보이고, 물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미국 스타트업 케토스의 미나 산카란 대표는 세계 시장 진출 성공사례와 정부 지원 방안을 설명하고, 로돌포 라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환경부문 국장은 탄소중립을 위한 국가 간 협력 방식을 제안한다.
정상회의에서 논의될 스마트 물관리 방안에 이목이 쏠리는 이유는 기후변화 영향으로 홍수·가뭄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여름 기록적 폭우와 최악의 홍수피해를 겪었다. UN도 2050년 세계 인구의 절반가량이 홍수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환경 전문가들은 “AI와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혁신적 물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과 그린뉴딜을 두 축으로 물관리 기반시설 전반에 스마트 체계를 도입 중이다. 2023년까지 전국 43개 광역 상수도와 161개 지방 상수도에 AI 실시간 감시·제어 체계를 구축하고, AI·빅데이터 기술을 홍수예보에 접목할 예정이다. 과거 수위·유량·강수량·댐 방류량 등 수문 자료를 AI로 학습시킨 후 특정 지점의 홍수정보를 예측하는 식이다. 2024년에는 디지털 기반의 스마트 하수 관리 체계를 완성하는 계획도 세웠다.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에도 방점을 찍는다. 환경부와 수공은 세계 최대규모의 시화호 조력발전소(254㎿)를 통해 연간 552.7GWh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내년 6월에는 강원도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구축 공사에 착수한다. 소양강댐 심층수로 생산한 수열에너지를 대규모 데이터센터 설비 냉방에 30년간 활용하는 사업이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

[탄소중립, 녹색 미래를 향해]
▶②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