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대표 공공서비스인 ‘따릉이’ 자전거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안전사고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인명피해가 비교적 큰 ‘자전거 대 자동차’ ‘자전거 대 자전거’ ‘자전거 대 사람’ 사고 총 건수는 2016년 6건에서 2020년 365건으로 늘었다. 사고 보험보상금 누적액은 약 34억5000만원이다. 반면 안전운행을 위한 자전거 인프라는 여전히 열악하다. 따릉이 서비스가 3년 연속 서울시 우수 정책 1위로 꼽힐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은 만큼, 자전거도로 등 질적 인프라도 확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4일 국민일보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서울시설공단에서 받은 ‘공공자전거 사고발생 현황’ 자료 등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1년 4월까지 따릉이 사고 건수는 2152건으로 집계됐다. 2016년 19건에서 2017년 170건, 2018년 312건, 2019년 817건, 2020년 763건으로 상향 추세다.
위험사고도 늘었다. 낙상 등 자전거단독 사고가 1293건으로 가장 많았지만, 인명피해가 상대적으로 큰 ‘자전거 대 자동차’ 389건, ‘자전거 대 사람’ 202건, ‘자전거 대 자전거’가 194건 발생했다. 특히 ‘자전거 대 자동차’ 사고 건수는 2016년 3건에서 2019년 147건, 2020년 169건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2018년에는 사망 사고도 1건 발생했다.
‘자전거 대 사람’ 사고 건수는 2018년 27건, 2019년 56건, 2020년 105건으로 매년 약 2배씩 늘어났으며, ‘자전거 대 자전거’ 사고 건수 역시 2018년 14건에서 2019년 73건, 2020년 91건으로 늘었다.
사고 증가로 보험금 지급액도 늘어 2021년 4월까지 총 34억5137만원이 지급됐다. 2016년 2580만원, 2017년 2억6848만원, 2018년 6억1629만원, 2019년 12억4240만원, 2020년 12억3892만원이 지급됐다.
따릉이는 서울시의 대표적인 우수 정책으로 손꼽힌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연속 서울시 우수 정책 1위로 뽑혔고, 이용자 만족도도 90%를 상회한다. 또 기후변화 시대를 맞아 친환경 이동수단으로서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문제는 사용자가 늘어남에도 여전히 자동차 중심의 도로환경으로 인해 사고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이 지난해 제보받은 ‘서울시 자전거도로의 문제점’ 467건 중 ‘자전거 도로 없음’(111건)이 가장 문제로 꼽혔다.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 차로 분류되므로 자전거 도로가 없을 경우 도로의 갓길로 달려야 한다. 하지만 분리되지 않은 좁은 도로에서 자동차, 버스 등과 함께 달릴 경우 사고 위험이 있다. 실제 도로별 공공자전거 사고발생 현황을 보면 일반도로에서 1655건이 발생해 전체 76.9%가 발생했다. 자전거도로에서의 사고는 247건(11.5%)이었다.
서울열린데이터광장에 따르면 서울시 자전거도로는 2016년 540구간 868.7㎞에서 2019년 590구간 940.6㎞로 늘었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최화영 활동가는 “일부 늘었지만 여전히 자전거 이용자에게는 불편한 형태”라며 “70% 이상이 보행자 및 자동차와 겸용도로”라고 지적했다. 실제 전체 자전거도로 중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는 622㎞, 차도 달릴 수 있는 자전거우선도로는 111㎞였다. 따릉이는 2015년 2100대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총 4만2790대가 도입됐다. 이중 6830대가 폐기돼 현재 3만5000여대가 곳곳에 배치됐다. 최 활동가는 “따릉이 자전거가 늘어나고 활성화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운행을 위한 인프라 확충에도 신경을 써야 할 때”라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