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은 평년보다 대체로 덥고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올해도 지난해처럼 ‘블로킹’(고위도에서 정체하거나 매우 느리게 이동하면서 주변 대기의 흐름을 막는 온난 고기압)이 변수로 작용해 이상기후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기상청은 24일 내놓은 ‘2021년 여름철 3개월 전망(6∼8월) 해설서’에서 이번 여름철 기온은 6월과 7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고 8월은 평년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기후감시요소, 기후예측모델, 국내외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해 이번 여름철 날씨를 전망했다.
월별로 보면 6월과 7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각 40%, 낮을 확률이 20%로 나타났다.
평년 기온은 6월 21.1∼21.7도, 7월은 24.0∼25.2도다.
8월은 평년(24.6∼25.6도)보다 높을 확률이 50%였고, 비슷하거나 낮을 확률은 각각 30과 20%로 추산됐다.
6월은 따뜻한 공기의 영향을 주로 받되 상층 찬 공기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낮은 기온 분포를 보일 때가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7월은 덥고 습한 공기의 영향을 주로 받지만, 비가 내리거나 상층 찬 공기의 영향을 받는 경우 평년과 비슷하거나 낮은 기온 분포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8월은 덥고 습한 공기의 영향을 주로 받으며 열대야가 발생할 때가 있고, 맑은 날씨에는 낮 동안 고온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강수량은 여름철 발달한 저기압과 대기 불안정의 영향으로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릴 때가 있고 강수량의 지역 차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월별 강수량은 6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 40%, 7월과 8월은 평년과 비슷할 확률이 50%이다.
다만 기후변화와 ‘블로킹’의 영향으로 이상기후가 나타날 수 있다.
지난해 기상청은 여름철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특히 7월 말에서 8월 초 무더위가 절정에 이르겠다고 예상했지만, 최장 장마가 찾아오는 등 실제 기상은 예측을 완전히 빗나갔다.
기상청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예상치 못한 이상기후 패턴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바이칼호·몽골 지역이나 동시베리아 부근으로 블로킹이 발달할 경우 우리나라로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기압계의 변화가 클 수 있다”며 “매월 발표되는 3개월 전망과 매주 발표되는 1개월 전망을 적극적으로 참고해 달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기상청은 매년 5월쯤 여름철 기상전망을 공식 브리핑했으나 올해는 자료와 간단한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 것으로 갈음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