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중 한국의 주요 기업들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등급 평균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기업들 중 최고 등급(AAA)을 받은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으며, 상위등급(AA 이상)을 받은 기업 수도 3개국 중 가장 적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3일 ‘한·미·일 주요기업 ESG 등급 비교’ 보고서를 통해 3개국의 매출액 100대 기업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등급 평균을 비교한 결과 일본이 4.6점으로 가장 높았고, 미국 4.4점, 한국 3.6점 순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각 국가별 매출액 100대 기업 중 MSCI 등급이 확인되는 기업(한국 50개사, 일본 87개사, 미국 73개사)을 대상으로 7단계 등급에 각 1~7점을 부여해 수치를 도출한 다음 계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고등급(AAA)을 받은 일본 기업은 이토추상사·소니·KDDI·후지쯔·SOMPO·스미토모화학 등 6개사였고 미국은 마이크로소프트·베스트 바이 등 두 곳이었다. AA 등급을 받은 일본 기업은 17개사, 미국 기업은 13개사였다. 반면 한국의 경우 최고등급(AAA)을 받은 기업은 없었으며, AA 등급을 받은 기업은 LG디스플레이·KT&G·㈜SK 등 3곳에 불과했다.
한국의 경우 BBB(15개사, 30.0%)와 BB(15개사, 30.0%) 등급을 받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반면 일본은 A 등급을 받은 기업(29개사, 33.3%)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ESG 평가에서 우수평가를 받은 항목도 국가별로 차이를 보였다. ESG 평가 우수항목(Leader 등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일본은 ‘기업행태’, 미국은 ‘기업지배구조’, 한국은 ‘청정기술개발’ 등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ESG 경영에서 가장 선도적인 국가는 일본으로 조사됐다”며 “일본 기업의 ESG 경영 선도 사례를 분야별로 면밀하게 분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글로벌 기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ESG 경영 요소를 검토하고 점진적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