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성·국제적 인정 등 원하는 것 주지 않을 것”
“가까운 과거에 있었던 일 안 한다”…트럼프 비판
“북한 문제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해 환상 없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정통성을 갖춘 국제적 인정 등 그가 원하는 모든 것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가진 직후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특정한 전제조건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지 않겠다고 했는데, 그 조건이 구체적인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그(김 위원장)가 어떤 약속을 하는지 지켜보자”고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 “우리가 만든 일부 개요(outline)가 충족되지 않는다면, 그를 만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어 “그(김 위원장)는 전혀 진지하지 않았던 것(비핵화)에 대해 더 진지한 방향으로 가야 할 것”라고 주장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나는 가까운 과거에 행해졌던 것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두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을 포함해 세 차례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북정책을 비판한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이나 트럼프 전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지 않았다. 또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기 위한 전제조건의 구체적인 내용도 밝히지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 문제의 어려움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우리는 이것(북한 문제)이 얼마나 어려운지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과거 네 개의 (미국) 행정부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면서 “이것은 믿을 수 없이 어려운 목표”라고 공개적으로 토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공동 기자회견의 연설을 통해선 “북한에 대해 외교적인 관여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면서 “긴장을 완화시키면서 한반도 비핵화를 향해서 다가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북 문제와 대북 전략·접근에 있어 한국을 긴밀하게 참여를 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