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전날 삼성 부른 美 정부…투자 계획 나올까

입력 2021-05-21 12:01 수정 2021-05-21 12:02
지난달 12일 백악관 회의에서 웨이퍼를 들어 보이는 바이든 대통령.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한미 정상회담 전날 삼성전자를 비롯한 반도체, 자동차 기업들을 한자리에 불러 반도체 칩 부족과 관련한 회의를 열었다. 한국 기업 중에선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이 회의에 참석했다.

로이터,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나 러만도 미국 상무장관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자동차업계 고위 관계자 및 반도체, 배터리 업계 관계자들과 반도체 칩 품귀에 따른 생산 차질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는 삼성전자, 애플, 구글, 아마존, 대만의 TSMC, 퀄컴, 제너럴일렉트릭(GE), 자동차회사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등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나 러만도 미 상무장관. 로이터=연합뉴스

러만도 장관은 반도체 칩 부족 사태와 관련해 기자들에게 “현재 공급망에서 투명성이 부족하다”며 “우리는 정보 공유를 강화함에 있어 정부가 할 수 있고 해야 하는 역할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글로벌 반도체 부족 사태로 공장가동을 중단하는 등 문제가 커지자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12일 같은 주제로 백악관이 주재한 회의가 열린지 한달여 만에 다시 열렸다. 게다가 한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시점이어서 삼성 입장에서는 미 정부의 투자 압박이 더 크게 느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앞서 러몬도 장관은 한 행사에서 “TSMC 등 대만 반도체 기업들에 차량용 반도체 부족분 생산을 일부 할당하도록 했다”며 투자를 종용한 사실을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한미 정상회담을 전후해 삼성전자가 20조원(17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투자 계획을 발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삼성전자가 텍사스주 오스틴에 파운드리 신규 공장을 짓기로 최종 확정했다고 보도했다. 이르면 올해 3분기 착공에 들어가 2024년 완공될 예정이라고도 덧붙였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