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코로나19보다 전파력이 더 센 것으로 알려진 영국발 변이가 울산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어 비상이 걸렸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21일 정례 브리핑에서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던 영국 변이가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인도발 입국자 증가에 따라 인도 변이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달 18일 0시 기준 영국,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브라질, 인도에서 유래한 이른바 ‘주요 변이’ 4종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국내 사례는 총 113명이다. 이 가운데 영국발 변이가 904명으로 가장 많았고, 남아공 변이(111명), 인도 변이(87명), 브라질 변이(11명) 순으로 이어졌다. 이들과의 접촉력이 확인돼 사실상 변이 감염자로 간주되는 1464명까지 포함하면 총 2577명에 달한다.
강도태 중대본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2차관)은 “그동안 울산 지역의 영국 변이 분석률이나 발견율이 높은 상황이었는데 (최근에는 다른 곳에서도) 지역적으로,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도에서는 성남이나 광주, 호남권에서는 광주와 완주, 충청권에서는 청주, 경북에서는 경주나 상주 등에서 영국 변이 사례가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세를 주시하면서 일단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3주간 더 유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의 조치가 다음 달 13일까지 이어진다.
강 1총괄조정관은 현행 거리두기 단계를 유지하기로 한 배경에 대해 “지난 4주간 확진자 수가 500명대 후반을 유지하며 정체된 상황이지만 예방접종 효과로 위중증 환자 수도 적고 치명률도 낮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월 시작된 현행 거리두기가 장기화하면서 사실상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지역별 상황을 고려한 단계 격상이나 다중이용시설 방역 등을 통해 지역 상황에 맞는 조치를 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 수준에서 유행이 급격하게 증가해 주간 일평균 확진자가 800명 수준으로 발생할 때는 거리두기 단계 격상,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 강화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또 “중대본은 다음 주부터 매주 목요일, 토요일에 회의를 개최하는 대신 각 부처와 지자체가 방역 현장을 점검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갖도록 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현장 중심의 방역 전략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