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에서 위력 보여준 중국, 비트코인 채굴까지 틀어막는다

입력 2021-05-20 17:58

신규 가상화폐 발행 및 거래 금지 조치로 가상화폐 시장에 큰 충격을 준 중국이 비트코인 채굴까지 틀어 막기로 했다. 최근 인터뷰와 트위터 등으로 가상화폐 시장을 좌지우지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모양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 등은 20일 중국 북부 네이멍구자치구가 지난 18일부터 불법 가상화폐 채굴업체에 대해 공개 신고제를 운영한다고 보도했다. 네이멍구자치구는 이번 조치가 에너지 절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며 엄청난 양의 전력을 소모하는 채굴장을 근절하겠다고 강조했다.

네이멍구자치구가 언급한 4가지 단속 대상에는 가상화폐 채굴업체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로 위장해 전기세 등 세금 우대 조치를 받는 불법업체나 업체에 땅이나 전력을 공급하는 관련 기업들도 포함됐다. 앞서 네이멍구자치구는 4월까지 자치구 내 채굴업체를 전부 퇴출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했는데, 채굴 연관 기업들까지 모두 단속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현재 중국은 대형 채굴업체들이 몰려 있는 가상화폐 업계의 ‘큰 손’이다. 영국 캠브리지대 대안금융센터(CCAF)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중국에서 채굴된 비트코인 비중은 전세계 채굴량의 65.08%에 달한다. 막대한 양의 전력을 소모하는 대형 채굴업체들이 비용절감을 위해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기후가 서늘한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나 신장위구르자치구 등 지역으로 몰리는 것이다.

신장위구르자치구는 세계 비트코인 채굴량 중 35.76%, 네이멍구 자치구는 8.07%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에너지 절감을 근거로 든 네이멍자치구의 채굴업체 근절 조치가 중국 내 다른 채굴 지역으로 확대될 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 정부는 시진핑 국가 주석이 지난해 유엔 총회에서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난 후 에너지 절감을 국가 차원의 의제로 격상시킨 바 있다.

앞서 중국 금융당국은 자국 내 가상화폐 관련 규제를 추가로 발표했다. 중국 인터넷금융협회·은행협회·결제청산협회는 지난 18일 “가상화폐와 연관된 모든 활동을 금지한다. 이를 어기면 공안 조사와 처벌을 받게될 것”이라는 내용의 공문을 회원 기업에 보냈다. 또한 “가상화폐는 내재적 가치에 의해 보장되지 않는다”며 “가격이 쉽게 조작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정부는 2017년부터 가상화폐 발행과 거래를 금지했으나 거래소를 우회해 모바일 결제 시스템 등으로 거래하는 사례가 증가하자 강화된 규제를 적용한 것이다.

중국 정부의 민간 가상화폐 단속 소식이 시장에 알려지면서 전날 비트코인 시세는 4만 달러 선이 붕괴됐고, 3만 달러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이번 중국의 채굴 금지 소식도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화폐 시장에 충격을 줄 전망이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