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산림청이 3억 그루 나무 벌채 계획 등을 논의할 민관협의체 구성을 추진한다.
환경부는 산림청이 업무 계획으로 발표한 탄소중립 달성 방안과 관련해 지난 4월 ‘산림청 탄소 흡수 전략 마련을 위한 민관 협의체(가칭)’ 구성을 제안했다고 20일 밝혔다. 산림청은 지난 13일 환경부 제안을 수락하고 관련 전문가 섭외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림청은 지난 1월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전략(안)’을 발표하면서 2050년까지 30억 그루의 나무 심기를 통해 매년 3400t 탄소를 흡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나이 든 나무 3억 그루를 베어내겠다는 계획을 공개해 ‘산림 파괴’ 논란이 불거졌다. 환경운동연합은 성명을 내고 “산림청이 탄소중립을 빙자해 30년 이상 된 나무에 ‘늙은 나무’라는 낙인을 찍어 벌목 사업을 확대하려는 계획에 규탄한다”고 했다.
산림청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으로, 민관협의체 구성은 산림청을 중심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민관협의체에서는 산림청 벌채 작업이 진행되는 장소와 방법, 생태계 및 생물다양성과의 조화, 산림의 탄소 흡수·배출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 방식 등을 논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산림청의 정책을 반대하거나 부정적인 견해로 보는 것은 아니다”며 “부처 간 정책이 충돌하거나 급하게 협의하게 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검토했으면 한다는 의미에서 민관협의체 구성을 건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