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담당 간호사 등에게 협박 전화를 걸었던 인물을 찾았으나,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아 사건을 종결했다.
서울 종로경찰서 관계자는 “당시 보건소 등에 전화를 건 사람들 가운데 불법행위가 확인된 인물은 1명”이라며 “피해자가 처벌불원 의사를 밝혀 불송치 결정했다”고 20일 밝혔다.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지난 3월 23일 서울 종로구 보건소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1차 접종을 했다. 접종 당일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 부부가 AZ 백신이 아니라 바꿔치기한 다른 백신 주사를 맞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캡 열린 주사기로 주사약을 뽑고 칸막이 뒤로 가더니 캡이 닫혀 있는 주사기가 나왔다’라는 내용의 글이 게시됐다. ‘주사기 바꿔치기’ 의혹을 제기한 글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순식간에 퍼졌다.
종로구청 측은 이튿날인 24일 오전부터 보건소와 담당 간호사 등에게 전화 수십 통이 쏟아졌다고 밝혔다. 이 중에는 ‘불을 지르겠다’ ‘폭파하겠다’ ‘(정부의 설명이) 거짓말인 것 아니까 사실을 밝히라’는 등의 내용도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방역 당국은 주사기 바늘 오염을 막으려는 조치라고 설명했으며, 경찰은 피해 간호사 등에 대한 신변 보호 조치를 취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같은 보건소에서 2차 접종을 마친 뒤 SNS에 “저는 별로 고생이 없었으나 접종을 해준 분이 가짜뉴스와 악플로 마음고생을 했다고 들어 위로했다”고 쓰기도 했다.
협박 전화를 걸었던 행위에 대해서는 수사가 종료됐으나 ‘주사기 바꿔치기’ 허위 게시글에 대한 경찰 수사는 진행 중이다. 질병관리청의 의뢰로 수사가 시작됐으며, 대구경찰청이 책임 관서로 지정됐다. 경찰청 관계자는 “피의자가 특정된 상황이며 수사가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김아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