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반 우려반…대구시자치경찰위원회 출범

입력 2021-05-20 11:31 수정 2021-05-20 14:25
국민DB

지역 자치경찰의 운영 방향을 결정할 대구시자치경찰위원회(이하 대구자치경찰위)가 20일 출범했다. 지역 맞춤형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과 함께 무늬만 자치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구자치경찰위 위원은 7명이다. 최철영 대구시민센터 이사장(대구대 교수), 김기식 전 대구남부교육지원청 교육장, 양선숙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허경미 계명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박헌국 계명문화대 경찰행정과 교수, 박동균 대구한의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김상운 대구가톨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다. 초대 위원장은 최철영 이사장이 맡았다. 7명의 초대 위원 임기는 3년(2024년 5월 19일까지)이다.

대구자치경찰위는 생활안전, 여성·청소년, 아동, 교통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경찰 사무를 지휘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맡는다. 대구자치경찰위 아래 사무국(1국·2과)에서는 대구시 직원 14명과 대구경찰청에서 파견된 직원 10명이 함께 근무한다. 대구시는 정기 인사가 있는 7월에 대구시 직원을 충원할 계획이다. 대구자치경찰위는 오는 24일 1차 회의를 개최해 상임위원(사무국장 겸임)을 선정하고 6월 30일까지 시범운영을 한다. 전국적으로 자치경찰제를 전면 시행하는 것은 오는 7월 1일이다.

최철영 위원장은 “자치경찰제의 시행으로 30년 지방자치 역사가 큰 변화를 맞게 됐다”며 “주민 참여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는 치안 수요를 발굴해 자치경찰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위원 7명 중 6명이 교수 출신으로 인력 구성이 학계에 너무 편중돼 있어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또 대구시 공무원과 경찰관이 함께 업무를 수행하면서 업무 관할, 인사 등에서 엇박자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구시 관계자는 “처음 시작하는 단계라 많은 부분을 새로 만들어가야 한다”며 “경찰과 함께 조직이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춰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