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넘게 이어진 횡성‧원주 물 갈등 이번엔 풀릴까

입력 2021-05-19 12:00
강원도청사

강원도와 횡성군, 원주시가 30년 넘게 이어온 횡성‧원주의 물 갈등 문제를 풀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강원도는 원주시, 횡성군과 함께 원주·횡성권의 안정적 용수공급 및 상생 협력을 통한 발전방안 수립 공동용역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1987년 횡성군과 인접한 원주시 소초면 장양리 섬강에 취수장이 설치됐다. 이에 따라 취수장 상류 10㎞에 있는 횡성읍 모평리와 반곡리 등 40여개 마을이 상수원 보호구역 등 각종 제한에 묶여 도시개발과 지역발전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횡성군은 그동안 원주시에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를 수차례에 걸쳐 공식 건의했으나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갈등이 지속하자 도와 원주시, 횡성군, 한국수자원공사가 2015년 6월 원주시민에게 횡성댐의 수자원을 활용한 광역상수도를 공급하는 내용의 실시협약을 체결했지만, 현재까지 답보상태다.

도는 이런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환경부와 수차례 협의해 온 끝에 지난해 12월 횡성, 원주와 함께 공동용역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용역비는 도가 2억원, 원주와 횡성이 각각 1억원을 부담한다. 용역기간은 1년 3개월이다.

이번 공동용역을 통해 원주·횡성지역의 물 수요 분석과 그에 따른 안정적인 용수공급 방안, 규제지역을 위주로 한 상생협력 발전과제를 발굴해 두 지역이 동반성장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두 지역의 사회단체, 주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축·운영해 양 지자체의 합의점을 이끌어 낸다는 방침이다.

도는 비상취수원 제도 도입 등을 통해 원주지역과 횡성지역의 상수원 입지규제를 합리적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비상취수원 제도는 평상시 장양리 취수장을 제외한 다른 곳을 취수원으로 활용해 물을 충당하다가 가뭄 등 물부족 시 장양리 취수장을 비상취수원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장양리 취수장 인근은 모두 상수원보호구역 등 규제에서 풀린다.

도는 용역결과로 도출된 협력과제를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국비 지원 등을 통해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박용식 도 녹색국장은 “공동용역을 통해 다양한 용수공급방안과 그동안 수도법에서 다루지 못한 각종 제도개선 사항들도 함께 검토해 지역의 현안이 조기 해결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